개산공단 원부자재 납품 협력업체들은 25일 “지난해 2월 10일 개성공단 전면 폐쇄 조치 이후 협력업체 상당수가 자금난으로 도산 위기를 겪고 있다”며 호소문을 발표했다. 이는 정부의 개성공단 입주기업 피해지원을 위한 배상기준이 피해액의 70%, 업체당 지원금 한도 22억원으로 한정된 데 따른 것이다. 개성공단 입주 기업이 원부자재 가격을 제대로 보상받지 못하면서 협력업체들도 원청업체로부터 납품 대금을 받지 못하는 상황에 내몰린 것이다.
이영두 동우포장 대표는 “원청업체에서 정부지원이 늦어진다는 이유로 납품대금 결제를 계속 늦추는 바람에 경영상황이 극도로 나빠지고 있다”며 “수개월째 15명의 종업원 급여도 못 주고 있어 연쇄도산의 위기를 겪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에 따라 이들 협력업체는 정부가 개성공단 피해 기업 지원 한도를 높여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여야 국회의원들이 지난해 피해 기업의 유동자산 피해 지원 예산 703억원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통과시켰지만 정부 반대로 2017년 정부 예산에 반영되지 못한 만큼 추경을 통해 예산에 반영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협력업체의 한 관계자는 “정부와 원청업체가 구정 전까지는 밀린 납품대금을 해결해 줄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를 하고 지난 1년을 버텨왔다”며 “하지만 싸늘한 정부 정책과 납품 대금 결제를 미루는 원청업체의 태도로 인해 협력업체들의 연쇄 도산이 불가피한 만큼 추경을 통해서라도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울분을 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