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백브리핑] 신복위 개인정보 어떻게 털렸나

대출모집사 통해 유출 추정

금융권 보안 취약성 도마에

신용회복위원회에서 2만8,000명의 신용정보가 무단으로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금융권 전반의 보안 취약성이 도마에 오르고 있다.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신용회복위원회의 신용정보시스템에서 오류가 발생해 제3자에 의해 신용정보가 조회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유출된 정보는 한국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대출 정보와 연체 정보, 공공기록 정보와 개인신용조회사에서 제공하는 신용등급이다. 신용회복위원회의 한 관계자는 “신용등급 조회를 위해서는 주민등록번호와 이름을 입력한 후 휴대폰이나 공인인증서를 통해 본인 인증 절차를 다시 한번 거쳐야 한다”면서 “그러나 특정 인터넷주소(URL)를 통해 주민번호와 이름만으로 신용등급이 조회됐다”고 설명했다.


수만 건의 주민등록번호를 보유하고 있었던 점, 다량의 IP접속이 확인된 점을 미뤄봤을 때 대출모집 회사를 통해 유출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이 관계자는 “피해자들에게 전화를 걸어 확인해본 결과 대출모집인을 통해 대출상담을 받은 적이 있고 상담 과정에서 주민번호와 이름을 알려준 바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신용회복위원회는 웹 보안 전문기관을 통해 보안 절차를 더욱 강화해나가겠다는 입장이지만 금융권 전반에서 비슷한 피해가 연이어 발생한 만큼 당국 차원의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