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올해 기업들 채용 작년 보다 7% 줄인다…채용 계획 기업도 53% 에 불과

경기 침체 여파로 올해 100인 이상 기업의 채용 규모가 지난해 보다 7% 가량 급감할 것으로 전망됐다. 채용 계획이 있는 기업은 전체의 절반을 겨우 넘어섰다. 대졸 채용 규모는 3년 연속, 고졸 채용은 4년 연속 감소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18일 전국 100인 이상 기업 258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7년 신규 인력 채용동태 및 전망조사’를 통해 올해 기업들의 신규 인력 채용 예상 규모는 지난해 보다 6.6% 급감할 것으로 예상했다.

기업 규모 별로는 100~299명의 중소 기업은 채용 규모를 지난해 보다 14.8% 줄일 것으로 예상됐다. 또 300~999명 규모 기업은 8.5%, 1,000명 이상의 기업은 3.9%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올해 대졸 신규 채용 규모는 전년 보다 7.3% 줄어 3년 연속 감소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고졸 채용은 7.9%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관련기사



더 큰 문제는 신규 채용을 계획 또는 완료한 기업이 전체의 53.7%로 2011년(64.2%) 이후 가장 적다는 점이었다. 채용 계획 미결정 또는 유동적이라고 답한 곳은 25.3%였고 채용 계획이 없다고 한 곳도 21%로 2011년(9.9%) 이후 가장 높았다.

기업들이 신규 인력을 뽑지 않는 이유는 ‘경기 침체에 따른 경영실적 악화’(46.6%)가 가장 많았고 대내외 불확실성 증가(21.2%), 정년 60세 시행에 따른 신규 채용 여력 축소(14%)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들은 임금을 동결할 경우 신규 채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47.3%)했다. 임금 동결을 위해서는 대졸 초임 하향 조정을 통한 재원 마련(19.6%)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신규 채용 근로자 가운데 신입은 69.1%, 경력은 30.9% 수준이었다.

강도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