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외교 2차관 “북핵·전쟁 용납 못해…제재·압력 통해 北을 대화로 이끌 것”

조현 외교부 제2차관이 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국제전략연구소(CSIS)에서 열린 한미전략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연합뉴스조현 외교부 제2차관이 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국제전략연구소(CSIS)에서 열린 한미전략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조현 외교부 제2차관이 “북한의 핵무기 보유국 지위 인정과 한반도에서의 전쟁은 절대 용납할 수 없는 사안”이라며 “제재와 압력을 통해 북을 대화로 이끌면 한반도 긴장 완화와 더 나아가 비핵화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 차관은 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국제전략연구소(CSIS)에서 열린 한미전략포럼의 기조 연설자로 나서 이 같이 언급했다.

조 차관은 한국 정부의 공식 입장은 아니라는 전제 하에 “현재 한국이 직면한 도전 중 가장 어려운 문제가 바로 북한”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워싱턴DC로 이동하던 도중 북한의 수소탄 실험 소식을 들었다”며 “북한의 무모한 도발은 계속되고 있고 북한의 위협은 참기 어려울 정도로 급속하게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조 차관은 “이런 상황에서도 결코 용납할 수 없는 게 두 가지가 있다”며 “첫째는 북한을 핵무기 보유국으로 인정하는 것, 둘째는 한반도에서의 전쟁”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그는 북한에 대한 제재와 압력을 지속해야만 결국 북한이 대화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제재와 압력에 중국의 동참을 이끌어내는 게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와 동시에 한국이 킬체인과 항공미사일방어시스템 등 방어력 제고를 통해 전쟁 억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조 차관은 “북한과 대화 필요성을 이야기하다 보면 시기적으로 적절하지 않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며 “하지만 북한의 도발과 위협 중단이라는 전제 하에 재개돼야 하는 대화가 두 가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하나는 인도주의적 문제들에 관한 것이고 또 하나는 비무장지대에서 군사적 긴장감을 줄이는 것”이라며 “이러한 대화는 대북 제재와 압력을 가하는 우리의 노력을 상쇄하지 않을 것이고 전략적 실수가 될 수 도 없다”고 강조했다.

조 차관은 “이 같은 대화는 한반도 긴장 완화와 차후 비핵화를 위한 또 다른 단계의 대화 환경 조성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현재로선 비현실적으로 들릴 수 도 있겠지만 우리는 대화를 결코 포기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정영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