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KDI “내수 부진 여전…회복세 견실하지 못해”

생산 경기둔화는 진정… 전체 산업생산 상승률 0.5%↑

소비자심리지수 1.3포인트 떨어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우리 경제가 여전히 견실한 회복세에 접어들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KDI는 6일 발표한 ‘9월 경제동향’에서 “최근 생산 측면의 경기 둔화 조짐이 진정되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견실한 회복세를 나타내지는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7월 전체 산업 생산은 광공업생산을 중심으로 1년 전보다 2.2% 증가했다. 전월(1.7%)보다 증가율도 상승했다. 광공업생산은 반도체(-13.0%) 부진에도 전자부품(10.7%)과 석유정제(8.0%) 등 품목의 개선에 힘입어 전월 감소(-0.5%)에서 0.1% 증가로 돌아섰다. 서비스업 생산은 2.2% 증가해 전월(2.1%)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4월 이후 3개월 연속 내리막길을 걷던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73.4%로 전월(71.2%)을 웃돌았다.

관련기사



그러나 내수가 견실하게 개선되지 않고, 소비자 심리도 약화하면서 전체 경기의 발목을 잡았다. 소비를 뜻하는 소매판매액 증가율은 7월 3.5%를 기록해 전월(1.1%)보다 상승 폭이 컸지만, 이는 지난해 6월말 개별소비세 인하 종료 이후 승용차 판매가 줄어든 데 따른 기저효과가 반영돼서다. 비내구재는 1.0% 증가하는 데 그쳤고, 준내구재는 2.4% 감소했다.

8월 소비자심리지수는 109.9로 기준치(100)를 웃돌았지만 가계생활형편과 경기에 대한 비관적 의견이 많아지며 7월보다 1.3포인트 떨어졌다.

설비투자와 건설투자는 각각 반도체, 건축부문을 중심으로 비교적 양호한 모습을 유지했지만 관련 선행지표는 둔화세를 나타냈다.

세종=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