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법원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장해등급 산정에 반영해야"

육체적 장애만 고려해 등급조정

근로공단 환수 처분에 위법 판단




사고로 입은 정신적 후유증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도 장해등급 산정에 반영해야 한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

19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행정법원 행정7단독 이승원 판사는 최근 A씨가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낸 장해등급 재결정처분 등 취소소송에서 원고 승소로 판결했다.


A씨는 지난 2004년 12월 인천 부평구 소재의 한 고등학교 공사현장에서 고압선에 감전돼 신경 손상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을 입었다. 2년 후 근로복지공단은 “전기화상으로 사지 근력이 마비됐고 이상 감각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다른 사람의 돌봄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A씨에게 장해 2급 판정을 내렸다.

관련기사



하지만 공단은 올해 3월 장해등급을 변경했다. 장해 2급 판정을 내린 당시에 A씨가 독립보행이 가능한 상태였으므로 하반신 마비를 인정할 수 없다는 주장이었다. 공단은 “A씨의 장해등급을 8급으로 변경하고 그동안 부당하게 지급된 급여 1억6,400만여원을 반환하라”고 했다.

법원은 이 같은 공단의 처분이 위법하다고 판단했다. 이 판사는 “안씨는 사고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입었고 공단도 이 같은 정신장해를 고려해 2급 판정을 했다”며 “등급을 변경할 때 정신장해가 어느 정도인지 고려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공단이 정신장해에 관해서는 아무런 판단을 하지 않았으므로 이 처분은 위법하다”며 “장해등급 재결정 및 부당이득징수 결정 처분을 취소한다”고 밝혔다.


백주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