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같은 경기도인데…삶의 만족도 최대 2.4배差

시·군별 최고 83.7% 최저 34.6%

10개 시·군은 '만족' 50%도 안돼

경기지역 시·군별로 삶의 만족도 격차가 최대 2.4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경기연구원이 도내 31개 시·군 7,125가구를 방문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 가구의 53.2%만이 ‘현재 삶에 만족한다’고 답했다.


시·군별로 보면 삶의 만족도가 높은 곳이 83.7%, 가장 낮은 곳은 34.6%로 격차가 2.4배나 됐다. 또 10개 시·군의 경우 삶의 만족도가 50%에 미치지 못했다.

관련기사



성별로는 남성이 54.0%, 여성 52.5%로 남성의 삶의 만족도가 여성보다 다소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50대가 56.6%로 가장 높았고 30대(55.3%), 40대(53.9%) 등의 순이었다. 70대 이상이 46.4%로 가장 낮았고 10대도 48.0%로 저조했다.

고용형태의 경우 정규직 57.9%, 무기계약직 51.2%, 계약직 49.0%로 나타나 정규직이 계약직보다 삶의 만족도가 크게 높았다. ‘일과 삶의 균형’(워라밸) 수준에 대한 물음에는 42.5%만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답했다. 주관적 건강 수준과 관련해서는 83.8%가 ‘건강하다’고 답했는데 시·군별로 보면 가장 높은 곳이 90.4%, 가장 낮은 곳이 55.6%로 1.6배 격차가 났다.

이은환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삶의 질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역 및 계층 간 격차를 발생시키는 요인규명과 대응방안 마련을 해야 한다”며 “육아휴직·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의 확대 등 워라밸 수준 향상 정책의 강화, 양질의 일자리 확대 및 고용 안정성 제고, 지역·계층 간 삶의 질 불평등에 대한 지속적 모니터링 및 격차 완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수원=윤종열기자 yjyun@sedaily.com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