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어머니 고(故) 강한옥 여사 발인이 31일 치러진다.
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 등 유족은 이날 오전 부산 수영구 남천성당에서 장례미사를 진행한 후 경산 양산 하늘공원에 고인을 안장한다는 계획이다.
청와대는 장례미사를 비롯한 모든 일정은 비공개라고 밝혔다. 조용하게 가족장을 치르겠다는 문 대통령의 뜻에 따른 결정이다.
장례 미사는 고인이 숨진 지 사흘째 되는 날 치러진다. 장례절차는 크게 빈소에서 나와 성당으로 향하는 출관, 장례미사와 고별식, 그리고 묘지로 이동하면서 바치는 운구예식, 무덤 축복과 매장으로 이어지는 하관예식으로 구성된다. 이 중 장례미사는 고인을 하느님께 맡긴다는 의미로 천주교 장례 절차의 핵심적인 부분이다.
장례미사는 시작에 앞서 제대(諸臺)를 꽃으로 장식하고 부활초를 켜서 준비를 갖춘다. 사제는 흰색이나 보라색 또는 검은색 제의를 입는다.
사제는 성당으로 입장하기 전 고인의 영구 앞에서 목례하고 고인과 유족에게 인사한 뒤 관에 성수와 향을 뿌리며 기도드린다. 이후 성가와 함께 복사단과 사제가 들어온다. 연령회원들이 고인의 관을 밀고 뒤를 따른다. 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 등 유족은 마지막으로 성당 안으로 입당한다.
관이 제대에 올려지고 십자가, 영정, 이름을 쓴 지방, 촛대 등이 놓이고 유족이 앞자리에 앉으면 미사가 시작한다. 미사 중에는 발인 전이나 매장 전에 신자 공동체를 떠나는 고인에게 마지막으로 인사하는 고별식이 있다. 고별 노래가 나오는 가운데 문 대통령 내외 등 유족이 관 앞에서 분향하고 고별인사를 드리면 예식이 끝난다.
이날 장례미사에는 문희상 국회의장과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참여한다고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조문과 조화를 사양하고 조용히 친지들과 장례를 치르고자 했으나 정치권과 정부 관계자, 외교 사절들의 조문 발길이 이어졌다. 야당 대표와 7대 종단 관계자, 미·중·일·러 4대국 대사 등 일부 조문객만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