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제설제 대량 확보 이유는··“10년 주기로 폭설 내려”

제설 인력 5,000명 투입

이미지투데이이미지투데이



서울시가 폭설에 대비해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 거의 10년 간격으로 서울에 폭설이 내리는 현상을 고려할 경우 이번 겨울에 서울에는 또 폭설이 내릴 것이라는 추측이 나오기 때문이다.

16일 시는 5년 평균 사용량의 180% 이상의 제설제를 확보하기로 했다. 9년 전 확보해뒀던 제설제가 5년 평균 사용량의 150% 수준이었는데 폭설 때문에 부족했던 점을 고려한 것이다.


제설 인력으로는 미화원 2,111명 등 총 5,301명을 투입한다.

이들은 총연장 8천217㎞의 도로를 대상으로 평시, 보강, 1·2·3단계 등 총 5단계 체계의 비상 근무에 들어간다.

가장 높은 3단계는 적설량 10㎝ 이상의 예보가 발령된 경우다. 3단계 가동 시 박원순 서울시장이 상황판단회의를 직접 주재해 대책을 논의한다.


서울시가 폭설에 대비에 총력을 기울이는 이유는 약 10년 주기로 폭설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서울의 하루 최대 적설량은 1981년 1월 1일 17.8㎝, 1990년 1월 31일 14.2㎝, 2001년 2월 15일 23.4㎝, 2010년 1월 4일 25.8㎝ 등을 기록했다.



2010년 1월 4일은 서울의 하루 최대 적설량이 10㎝를 넘은 마지막 날로 남아 있다.

이날 쌓인 25.8㎝는 서울의 역대 1위 하루 최대 적설량이기도 했다. 2001년 2월 15일 수치는 역대 3위에 오르는 등 10년 간격의 폭설은 많은 기록을 남겼다.

2010년으로부터 9년이 지나 돌아온 이번 겨울은 10년 주기설이 성립할지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기상청 관계자는 “폭설에는 변수가 많고 ‘10년 주기’의 과학적 근거를 찾기에는 더 많은 사례가 필요하다”면서 “남서풍이 강하게 불면 강수량이 많아지는데 이때 기온이 영하인 조건이 갖춰질 경우 눈으로 내릴 수 있다”고 말했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