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펀드게이트 '눈덩이' 의혹 진실 규명 특검에 맡겨라

서울중앙지검은 청와대 민정비서관실 행정관으로 근무한 이모 변호사가 갖고 있던 옵티머스 펀드 지분 9.8%를 차명으로 전환했다는 관련자 진술을 확보하고도 사법 처리를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 변호사는 김재현 옵티머스 대표의 동업자인 윤석호 옵티머스 이사의 아내다. 이 변호사는 행정관 재직 중 차명으로 전환해 지분 보유 사실을 숨긴 상태에서 청와대에 계속 근무하다가 6월에야 그만뒀다. 이 변호사가 행정관으로 재직하던 1월 법무부는 서울남부지검 증권범죄합동수사단을 폐지했다. 옵티머스 펀드 의혹을 수사한 서울중앙지검 조사부가 여권 인사 연루 진술을 듣고 윤석열 검찰총장에게는 여권 연루설을 빼고 수사 경과만 보고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라임자산운용 펀드의 전주(錢主)인 김봉현 전 스타모빌리티 회장이 지난해 회사 대표를 통해 강기정 당시 청와대 정무수석에게 5,000만원을 건넸다고 검찰에 진술했지만 정작 조서에 이 진술이 제대로 기록되지 않았다는 의혹도 거론됐다. 강 전 수석은 “김 전 회장의 진술은 터무니없는 위증”이라고 부인했다. 진술의 진위 규명을 위해서도 조서에 기록해야 할 사안이었다. 검찰 주변에서는 “여권 일부 인사들이 조금이라도 투자하는 방식으로 펀드 수익 챙기기에 동참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의혹도 흘러나온다.

관련기사



5,000억원의 피해가 예상되는 옵티머스 펀드와 1조6,000억원대 피해를 낸 라임 펀드 의혹 사건을 각각 맡은 서울중앙지검과 서울남부지검은 그동안 권력 비리 의혹에 대해서는 철저하게 수사하지 않고 대충 덮으려 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기존 수사팀에 인력을 보강하는 수준으로는 권력형 게이트 의혹이 있는 두 사건의 진실을 파헤칠 수 없다. 윤 총장이 새로 특별수사본부를 꾸려 권력 비리가 있는지 엄정하게 수사하도록 해야 한다. 그래도 미진하다면 독립성을 확실하게 갖춘 특별검사에 맡길 수밖에 없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