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기사가 올해 초 과로사 대책이 담긴 노사정 사회적 합의가 파행 수순이라며 정부의 역할을 거듭 촉구하고 나섰다. 이 주장을 관철하기 위해 택배노동조합은 파업에 이어 대규모 집회까지 강경 대응을 이어가고 있다. 갈등 해결의 분수령은 15~16일 사회적 합의 기구 회의에서 합의안이 다시 도출될 수 있는지다.
전국택배노조와 민주노총 등은 15일 서울 여의도 포스트타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차 사회적 합의에도 불구 택배노동자는 죽거나 쓰러지고 있다”며 “1차 합의가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파행으로 가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포토 +36
올해 1월 택배 노사와 정부는 과로사 대책을 방지하기 위한 사회적 합의를 도출했다. 합의안은 택배 분류 작업의 책임을 택배회사에 지우고, 작업시간을 제한해 택배기사의 노동강도를 줄이는 것이다. 하지만 대책 이행을 위한 후속 논의가 진전되지 못했다. 8일 2차 사회적 합의기구 회의에서 합의가 결렬되자 택배노조는 파업(조합원 2,100여명)과 분류작업 거부에 이어 전일부터 우정본부 건물 1층을 점거하고 시위 중이다. 이날 여의도 공원에서도 5,000여명이 모이는 대규모 집회를 계획했다. 택배노조는 집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경찰과 충돌도 있었다. 택배노조는 “과로사 문제 해결의 핵심은 분류작업”이라며 “민간 택배회사와 달리 공공기관인 우정사업본부는 인력 투입이 거의 없고 분류작업을 하는 근로자에 비용도 지급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관건은 택배기사의 분류 업무, 근로시간이 줄어든 만큼 수익이 줄지 않아야 한다는 택배노조의 요구가 사회적 합의안에 어떻게 담기느냐다. 사회적 합의기구 회의는 이날과 16일 열린다.
/양종곤·허진 기자 ggm11@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