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전공의 집단행동으로 인한 의료대란을 해소하기 위해 비대면 진료를 전면 확대한 이후 이용 건수가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병원급’ 의료기관의 참여는 저조했다.
2일 비대면 진료 플랫폼 중 업계 1위인 ‘닥터나우’에 따르면 정부가 초진 환자도 평일에 비대면 진료를 받게 하는 등의 조치를 진행한 지난 23일 이후 비대면 진료 이용자 수는 이전 대비 2배 늘었다. 가장 많이 늘어난 진료 유형은 소아청소년과로 전체의 37% 정도였다. 이어 감기·몸살로 인한 진료가 20%였다.
정부는 이와 함께 병원급 이상의 비대면 진료도 대폭 확대했지만 참여 중인 병원급 의료기관은 단 한 곳도 없었다. 닥터나우 관계자는 “병원급 의료기관 중 제휴 상담을 문의한 곳은 1곳뿐이었다”며 “제휴 요청 상담 건수는 의원급을 중심으로 현저히 늘었다”고 말했다.
업계에 따르면 비대면 진료에 정착한 의원급 의료기관들과는 달리 병원급은 익숙하지 않아 혼란과 불편함이 많아 선호하지 않는 분위기다. 한 병원 관계자는 “비대면 진료를 새로 시작해도 ‘한시적 허용’인 만큼 금방 접게 될 수 있는 상황에서 굳이 불편을 감수할 필요가 없다”며 “병원들은 보수적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플랫폼 업계도 전공의 사직으로 인한 ‘의료대란’으로 이용 건수가 증가한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닥터나우 관계자는 “야간·휴일 이용 건수는 조치 이전과 비슷하며 전공의 부재로 인해 병원급 기관을 이용하셔야 하는 분들이 유입되는 양상은 아니다”라며 “기존에 비대면 진료를 이용했거나 최근에 이용이 가능함을 인지하신 분들 중 평일 일과 시간 진료가 필요한 분들이 이용하시기 시작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병원급 의료기관은 플랫폼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플랫폼 업체 통계로는 정확한 분석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김한숙 복지부 보건의료정책과장은 “병원급 의료기관에는 재진 환자가 많아 의원급 의료기관과 달리 지금 당장 갈 병원을 찾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지 않다”며 “통계는 사후 진료비 청구를 통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