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이창용 "국민연금 외환시장 영향 커…투자·환헤지 전략 재설정을"

"연금, 해외자산 매입·매각 때

원화 절하·절상 압력 우려 커

韓 외환보유액은 충분한 수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오전 서울 동대문구 서울시립대에서 열린 한국국제경제학회 동계학술대회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뉴스1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오전 서울 동대문구 서울시립대에서 열린 한국국제경제학회 동계학술대회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뉴스1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국민연금의 해외투자 전략 수립 시 외환시장에 미치는 거시경제적 영향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원·달러 환율이 1450원을 웃도는 상황에서 국민연금의 역할과 위치를 다시 한번 설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지 12월 11일자 1·3면 참조



이 총재는 이날 서울시립대에서 열린 한국국제경제학회 동계학술대회 기조연설에서 “국민연금의 해외투자 규모가 커져 외환시장 영향력이 크게 증대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관련기사



그는 “거주자 해외투자에서 국민연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69%까지 상승했다”며 “이는 외환 순매입 확대로 이어져 최근 수년간 원화 절하 압력 요인으로 작용해왔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반대로 국민연금의 해외 자산 매각 시 원화 절상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우려했다. 그는 “앞으로 고령화 진전과 연금 수급자 증가로 기금 감소기가 도래하면 해외 자산 매각에 따른 국민연금의 외환 순매도가 원화 절상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 총재는 수익률 제고를 위해서라도 국민연금의 원화 표시 방법과 환 헤지 전략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충분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 총재는 “국제통화기금(IMF)의 적정 외환보유액 수준에 보면 우리(한국)가 조금 밑에 있으니까 불안한 것 아니냐 하는 얘기가 있는데 그것은 금융 신흥국에 대해서 적용하는 정량 평가 기준이며 IMF가 지난해부터는 한국을 정량 평가 대상국으로 보지 않고 있다”면서 “IMF는 일부 시장 성숙국에 한해 정성 평가를 하는데 이 평가로는 한국의 외환보유액이 굉장히 충분하다”고 덧붙였다.

환율 안정을 위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와의 통화 스와프는 쉽게 쓸 수 있는 카드가 아니라고 밝혔다. 연준과의 통화 스와프를 위해서는 △글로벌 달러 부족 △유동성 부족으로 인한 신흥국 경제 충격 △미국 경제의 부담 가중 등 세 가지 요건이 맞아야 한다는 게 이 총재의 설명이다.


김혜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