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기업 60%, 신입사원 수시채용…'공채만 활용'은 9.2%

사람인, ‘2025년 정규직 채용 계획’ 조사





기업 10곳 중 6곳 이상이 올해 정규직 채용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입 채용 시 공채보다는 수시 채용 방식을 선호하는 비율이 6배 이상 높았다.



사람인은 13일 기업 511개사를 대상으로 ‘2025년 정규직 채용 계획’을 조사한 결과를 공개했다.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69.7%), 100인 미만(63.1%), 100인 이상~300인 미만(59.1%) 순으로 채용 계획이 있다는 비율이 높았다. 올해 정규직 채용 계획이 있는 기업의 75.5%는 신입과 경력을 모두 뽑는다고 답했다. 경력만 채용하는 기업은 16.4%였으며, 신입만 뽑는 곳은 8.1%로 집계됐다.



신입사원을 채용할 직무는 ‘제조·생산’(28.9%,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영업/판매/무역’(18.1%), ‘서비스’(13%), ‘IT개발/데이터’(11.9%), ‘기획/전략/사업개발’(11.5%), ‘R&D’(11.1%), ’인사/총무’(9.6%), ‘마케팅’(8.9%), ‘재무/회계’(8.1%) 순이었다.

관련기사



주된 신입사원 채용 방식은 ‘수시채용’이 60.4%로 과반이었다. 30.4%는 공채와 수시 모두 활용할 예정이었고, 9.2%는 공채를 통해서만 신입사원을 채용한다고 답했다.

경력사원의 경우 ‘제조/생산’(23.2%, 복수응답), ‘영업/판매/무역’(21.9%), ‘기획/전략/사업개발’(13.1%), ‘IT개발/데이터’(12.5%), ‘R&D’(11.1%), ‘서비스’(10.8%), ‘재무/회계’(10.1%) 직무 인재를 뽑는다는 응답이 많았다. 채용하고자 하는 경력 연차는 ‘3년차’(42.1%, 복수응답), ‘5년차’(39.1%), ‘2년차’(22.2%), ‘1년차’(17.2%), ‘4년차’(14.5%), ‘10년차’(13.5%), ‘7년차’(10.8%) 등으로, 3년차 이하 주니어 경력직에 대한 수요가 높았다.

올해 정규직 채용 계획을 세운 기업들(323개사)은 ‘현재 인력이 부족해서’(64.1%, 복수응답), ‘우수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서’(28.5%), ‘인력들의 퇴사가 예정돼 있어서’(24.5%), ‘사업을 확장해서’(24.1%) 등을 채용의 주요 이유로 꼽았다.

사람인 관계자는 “대내외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이·퇴직 등에 따른 인력 감소분을 충원하는 한편 제조·서비스 등 만성적인 구인난을 겪거나 일부 활황인 업종에서 인재를 확보하고자 하는 니즈에 따라 과반수 기업이 정규직 채용 계획을 세운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 경기 상황에 따라 채용 수요가 변화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박진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