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지질硏, 자율주행 지하탐사 로봇 개발[사이언스씬]

지하 레이다 탐사 기술 적용

땅 속 살펴보며 매장물 파악

유적지 탐사 등에도 활용해

자율주행 지하자원 탐사 로봇의 모습. 사진 제공=한국지질자원연구원자율주행 지하자원 탐사 로봇의 모습. 사진 제공=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자원탐사개발연구센터의 강웅 박사 연구팀이 자율주행으로 지하자원을 탐사하는 무인 로봇 기술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로봇은 지하레이다탐사(GPR) 기술을 적용했다. 송신 안테나에서 광대역 전자기파 파동을 방사하면 땅 밑으로 투과돼 들어간 신호가 지하의 불연속면에서 반사돼 이를 수신하는 방식이다. 즉 땅을 파보지 않고도 지하에 묻힌 매장물을 고해상도 영상으로 파악할 수 있다. GPR은 송신 안테나에서 땅 밑으로 광대역 전자기파 파동을 보내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지하 시설물 탐지를 비롯해 교통 인프라 조사와 유적지 탐사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관련기사



연구팀은 야외에서 지하 매장물 조사를 무인 자동화로 수행할 수 있는 지상 자율주행체 기본 모델을 개발했으며 실외 테스트에서 1만 개 이상의 데이터를 확보해 분석한 결과 평균 위치 오차가 2.5㎝ 안팎으로 위치 정확도 역시 높았다. 이 같은 기능으로 지난해 GPR 응용 분야 박람회에서 실내 경로 주행과 GPR 데이터 취득 및 실시간 영상화가 가능한 데모 로봇을 선보였고 세계지질과학총회에서도 높은 관심을 받았다.

연구팀은 앞으로 자율주행 탐사 로봇 시제품 개발과 연구소 기업 설립을 준비 중이다. 강 박사는 “상용화에 성공하면 탐사 인력과 환경에 제한받지 않고 지속적인 탐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문화유산 조사용 탐사 로봇이 경북 경주 첨성대 일대를 조사하고 있다. 사진 제공=한국지질자원연구원문화유산 조사용 탐사 로봇이 경북 경주 첨성대 일대를 조사하고 있다. 사진 제공=한국지질자원연구원


송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