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해외 주식형 펀드 순자산 지난 한 해 76% 증가…국내 주식형 첫 추월  

71.6조 기록…2004년 데이터 집계 이후 처음

국내 주식형은 감소…전년比 10%넘게 줄어

ETF 성과로 공모펀드 순자산 25% 넘게 증가

채권형 펀드 두각…순자산 1년 동안 25% ↑

여의도 증권가. 연합뉴스여의도 증권가. 연합뉴스




지난해 해외 주식형 펀드(공·사모 전체)의 순자산 총액이 금융투자협회가 데이터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4년 이후 처음으로 국내 주식형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금투협은 17일 ‘2024년 펀드시장 결산’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공모펀드와 사모펀드를 모두 합한 해외 주식형 펀드의 순자산 총액은 71조 6000억 원이다. 이는 2023년 말(40조 7000억 원) 대비 76.1% 증가한 수치다. 반면 지난해 말 국내 주식형 펀드의 순자산 총액은 2023년 말(70조 1000억 원) 대비 11.2% 감소한 62조 3000억 원이다. 해외 주식형 펀드의 순자산 총액보다 9조 원 넘게 적다.



지난해 국내 증시 부진이 뼈 아팠다.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는 지난 한 해 각각 9.63%, 21.74% 하락했다. 반면 미국 대표 지수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과 나스닥 지수는 각각 23.31%, 28.64% 급등했다.

관련기사



국내 펀드 시장은 전반적으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국내 펀드 전체 순자산은 2023년에 이어 두 해 연속 두자릿 수 증가율을 보였다. 금투협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체 펀드 순자산 규모는 1098조 7000억 원으로 2023년 말 대비 13.1% 증가했다.

상장지수펀드(ETF)의 약진으로 공모펀드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공모펀드의 순자산 총액은 435조 5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 넘게 급증했다. 반면 지난해 말 기준 사모펀드의 순자산 총액은 663조 1000억 원으로 1년 새 40조 원 증가하며 6.4%의 증가율을 기록하는 데 그쳤다.

전체 펀드 유형 중에서는 지난 한 해 동안 채권형 펀드의 순자산 총액이 가장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기준 공·사모 포함 채권형 펀드의 순자산 총액은 172조 6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138조 2000억 원) 대비 24.9% 증가했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주요국 중앙은행이 기준 금리 인하에 나서자 채권 자본 차익과 이자 수익을 동시에 누리려는 투자자들의 수요가 몰렸다. 실제 지난해 채권형 펀드에 1년 간 27조 2000억 원이 순유입되며 전체 유형 중 1위를 차지했다.

다만 지난해 4분기 말에는 미국을 비롯한 우리나라 기준 금리 인하 속도가 늦춰질 것이란 전망이 힘을 받으며 순자산 규모가 3분기 말 대비 1조 5000억 원 감소했다.


이정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