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11월에도 2만명 넘게 태어났다…14년來 최대 증가폭

출생아 수 전년比 14.6%↑

3개월 연속 두자릿수 증가

대구 25%·세종은 22% 늘어

통계청은 지난해 11월 출생아수가 14년 만에 가장 많이 늘어났다고 22일 발표했다. 사진은 신생아들의 모습. 연합뉴스통계청은 지난해 11월 출생아수가 14년 만에 가장 많이 늘어났다고 22일 발표했다. 사진은 신생아들의 모습. 연합뉴스




지난해 11월 출생아 수가 15%가량 늘며 14년 만에 최대 증가 폭을 나타냈다. 지난해 전체 출생아 수는 연간 기준으로 9년 만에 첫 반등세를 나타낼 가능성이 높아졌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11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11월 출생아 수는 2만 95명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2565명(14.6%) 증가했다. 이는 2010년 11월(6146명·17.5%) 이후 11월 기준으로는 최대 증가 폭이자 최대 증가율이다. 지난해 월별 증가율은 9월(10.1%)·10월(13.4%)에 이어 3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 중이다. 지역별로는 대구(25.3%)와 전남(25.0%), 울산(24.5%), 세종(22.0%) 등 전국 17개 모든 광역 시도에서 출생아 수가 늘었다. 통계청의 한 관계자는 “그동안 출생아 수가 큰 폭으로 감소했던 기저 효과와 2022년 8월 이후 계속된 혼인 증가 추세 등이 출생아 수 증가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이 같은 추세를 반영하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2015년 이후 9년 만에 첫 반등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연간 출생아 수는 2016년(40만 6243명)부터 2023년(23만 28명)까지 해마다 내리막길을 걸었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7월부터 5개월 연속 2만 명대를 나타내는 등 긍정적 흐름이 나타났다. 지난해 1~11월 누적 출생아 수 역시 22만 94명으로 전년보다 3% 증가했다. 통상 12월에 출생아 수가 가장 적지만 2023년 12월(1만 6305명)과 유사하다고 가정해도 23만 6399명에 달한다. 정부 안팎에서 지난해 연간 출생아 수를 23만 명 후반대에서 24만 명 초반대로 조심스레 점치는 이유다. 앞서 행정안전부는 ‘2024년 주민등록 인구통계 분석’ 자료에서 “출생(등록)자 수가 24만 2334명으로 2023년보다 3.1% 늘며 9년 만에 증가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지난해 합계출산율도 2023년(0.72명)을 넘어설 가능성이 높아졌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지난해 합계출산율을 0.74명으로 예상한 바 있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한 명이 낳을 것으로 예상하는 아이 수를 뜻한다. 출산의 선행지표가 되는 혼인 건수 역시 증가 추세를 보였다. 지난해 11월 혼인 건수는 1만 8581건으로 1년 전보다 11.3% 증가했다. 지난해 1~11월 누적 혼인 건수는 19만 9903건으로 13.5% 늘었다.

정부 관계자는 “지난해 출생아 수는 24만여 명으로 2023년을 넘어설 것으로 추정한다”며 “혼인 건수가 증가하고 있어 올해 추이도 긍정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세종=유현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