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작년 세계 金수요 사상 최고…중앙은행들 쓸어담았다

총수요 4974톤 기록해 기록 경신

중앙은 매입 3년 연속 1000톤 돌파

역대최고가 맞물려 수요가치 최고

금괴 중심 투자, AI용 수요도 증가

"올해도 불확실성, 金가치 커질것"


금값이 연일 고공 행진 중인 가운데 지난해 세계 금 수요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요국 중앙은행에 의한 매입이 3년 연속 1000톤을 넘어서며 전체 수요를 끌어올렸다.

세계금협회(WGC)는 5일(현지 시간) 발표한 2024년 세계 금 수급 통계에서 전 세계 금 수요가 총 4974톤으로 사상 최고치를 보였다고 밝혔다. 치솟은 금 가격과 급증한 거래에 힘입어 금액 역시 총 382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찍었다.



금 수요는 각국 중앙은행들의 지속적인 매입이 큰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 각국 중앙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 등의 순매수량은 전년 대비 6톤(1%) 줄었음에도 총 1045톤으로 집계돼 3년 연속 1000톤을 돌파했다. 중앙은행이 금을 계속 매수했던 2010~2023년 평균(약 550톤)과 비교하면 두 배 가까운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연간 최대 매수국은 폴란드(90톤)였으며 튀르키예(75톤), 인도(73톤)가 그 뒤를 이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간을 2015년 이후 지난 10년으로 벌리면 중국의 매수세가 두드러졌다. 중국은 이 기간 가장 많은 양(1215톤)의 금을 사들였으며 다음으로 러시아(1128톤), 튀르키예(499톤) 순이었다.

관련기사



WGC에 따르면 주요국 기관들의 금 수요가 늘어난 것은 2010년께부터다. 리먼브러더스 쇼크와 유럽·미국의 금융위기를 계기로 15년 연속 금 매수가 증가했다. 2022년에는 처음으로 연간 1000톤을 돌파했다. 특히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뒤 달러 자산이 동결되자 신흥국을 중심으로 달러 보유·제재 리스크에 대한 경계가 한층 높아졌고, 이에 무국적 통화인 금으로의 자금 유입이 확대됐다.

세계 정치·경제의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 역시 안전자산인 금 구매로 이어지고 있다. WGC가 중앙은행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조사에 따르면 ‘장기적 가치 보존’ ‘정치적 리스크 부재’ ‘지정학적 다각화’ 등이 금 매입의 이유로 꼽혔다.

달러 집중에 대한 우려 및 이탈도 금 인기에 한몫했다는 분석이다. 미국 자산운용사 인베스코가 중앙은행 관계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절반 가까이가 ‘미국 부채 수준 상승이 금의 매력을 높이고 있다’고 답했다. 세계 통화로서 달러의 지위가 5년 내 하락할 것이라는 응답도 18%로 전년의 11%에서 상승했다.

WGC는 올해도 금의 가치와 수요가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경제적 불확실성으로 금의 리스크 헤지 역할이 부각되면서 중앙은행과 상장지수펀드(ETF) 투자자들이 수요를 주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올 들어 금값은 미국발(發) 관세 전쟁과 맞물려 연일 최고치를 갈아 치우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금 현물 가격은 4일(미 동부 시간) 장중 트로이온스당 2845.14달러로 사상 최고를 찍은 데 있어 5일 2867.24달러까지 오르며 또 한번 최고가를 썼다.


송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