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빵 6%·커피 15%…관치 풀리자 치솟는 물가

정국 혼란에 물가관리 기능 약화

연초후 최소 11개업체 가격 인상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6일 서울 서초구 하나로마트 양재점에서 한우 등 축산물을 살펴보며 물가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연합뉴스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6일 서울 서초구 하나로마트 양재점에서 한우 등 축산물을 살펴보며 물가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연합뉴스




탄핵 정국에 정부의 물가 컨트롤타워가 제대로 가동되지 못하는 틈을 타 식품 업계가 제품 가격을 무더기로 인상하고 있다.



7일 SPC그룹이 운영하는 파리바게뜨는 10일부터 빵류 96종과 케이크 25종의 가격을 평균 5.9% 올리겠다고 발표했다. 이번에 권장 소비자가격이 오르는 품목은 △그대로토스트(3600원→3700원, 2.8%) △소보루빵(1500원→1600원, 6.7%) △딸기블라썸케이크(1만 9000원→1만 9900원, 4.7%) 등이다.

관련기사





빙그레도 이날 커피·과채음료 및 아이스크림 22종의 판매가를 다음 달부터 평균 14.7% 올리겠다고 밝혔다. 롯데웰푸드는 지난해 6월 제품 가격을 높인 지 8개월 만인 6일 과자와 아이스크림류 등 26종의 가격을 평균 9.5% 높인다고 발표했다.

새해 들어 불과 한 달 남짓 동안 최소 11개의 식품 기업이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오뚜기·대상·동아오츠카 등 식음료 제조사부터 버거킹 등 버거 프랜차이즈, 스타벅스·폴바셋을 포함한 커피 브랜드까지 품목도 다양하다. 소비자에게 공지 없이 가격을 올리고 대상 품목과 인상 폭도 공개하지 않는 할리스커피 같은 경우까지 고려하면 실제 사례는 이보다 휠씬 많을 것으로 보인다.

유통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내내 식품사 등에 가격 인상 자제를 요청하는 등 정부 부처의 압박이 많았는데 계엄 사태 이후 물가 관련 요청이나 공문이 거의 없어진 상황”이라고 전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11일 송미령 장관 주재로 각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을 불러 먹거리 물가 안정을 논의할 예정이지만 ‘뒷북 대응’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황동건 기자·김남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