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지난해 가장 잘 다듬은 우리말은 ‘혈당 스파이크’→‘혈당 급상승’

문체부·국립국어원, 외국 용어 76개 우리말로 다듬어

“‘옴브즈퍼슨’은 ‘아동 권리 대변인’으로 바꿔 써야”

자료 제공=문체부자료 제공=문체부




문화체육관광부는 국립국어원과 우리 사회에 들어온 외국 용어를 쉬운 우리말로 다듬은 것에 대한 국민 수용도를 조사할 결과, 가장 잘 다듬은 말로는 ‘혈당 스파이크’를 바꾼 ‘혈당 급상승’이, 쉬운 우리말로 바꿔 써야 할 외국 용어로는 ‘옴부즈퍼슨’이 꼽혔다고 10일 밝혔다. 문체부는 지난 한해 외국 용어 76개를 쉬운 우리말로 다듬었다.



우선 2024년 다듬은 말 중에서 국민들이 생각하는 가장 잘 다듬은 말로는 ▲ 혈당 급상승(혈당 스파이크) ▲ 금리 대폭 인하(빅 컷) ▲ 역량 강화(업스킬링) ▲ 금리 소폭 인하(스몰 컷) ▲ 가치 향상(밸류업) 순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 반려동물 돌보미(펫 시터) ▲ 책 소개 영상(북 트레일러) ▲ 교차 검증(크로스 체크) 등도 잘 다듬은 말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자료 제공=문체부자료 제공=문체부


이와 함께 지난해 다듬은 외국 용어 중 쉬운 우리말로 바꾸어 써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던 용어는 ▲ 옴부즈퍼슨이었다. ‘옴부즈퍼슨’은 어린이의 권리가 침해당했을 때 어린이의 권리를 보호하고 구제하는 역할을 하는 대리인을 뜻하는데 ‘아동 권리 대변인’으로 다듬었다. 또 ▲ 오프 리시/오프 리쉬 ▲ 리스킬링 ▲ 풀필먼트 등도 쉬운 우리말로 바꿔 써야 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문체부와 국립국어원은 “올해도 새롭게 유입되는 외국 용어를 신속하게 다듬어 외국 용어가 널리 사용되기 전에 쉬운 우리말로 바꾸는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최수문기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