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가전 투톱' 세탁건조기 대전…에너지 고효율 삼성, 성능은 LG

한국소비자원서 조사 결과

삼성, 소비전력 우위 차지

LG는 세척·물 사용량 우수

삼성전자 모델이 올인원 세탁건조기 ‘비스포크 AI 콤보’ 신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 제공=삼성전자삼성전자 모델이 올인원 세탁건조기 ‘비스포크 AI 콤보’ 신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 제공=삼성전자




삼성전자(005930) 일체형 세탁건조기인 ‘비스포크 AI 콤보’의 소비전력량이 LG전자(066570) 제품보다 23%가량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탁과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도 LG 제품보다 상대적으로 짧았다. 세탁 성능과 물 사용량 면에서는 LG전자 제품이 우위를 차지했다.

11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국내 유통 중인 비스포크 AI 콤보 제품의 1회 동작 후 에너지소비량은 1160Wh, LG전자 트롬 오브제컬렉션 워시콤보는 1432Wh를 각각 기록했다. 단독 건조 코스에서는 삼성전자 제품이 978Wh, LG전자 제품이 1114Wh가량의 전력을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 간 소비전력 차이는 최대 272Wh로 삼성 제품이 LG보다 23%가량 소비전력이 적었다. 일체형 세탁건조기를 원스톱 코스로 사용할 때 연간 전기요금을 환산하면 삼성 제품이 3만 9000원으로 LG전자(4만 8000원)보다 9000원 덜 든다.

관련기사



세탁·건조 시간에서도 삼성 제품이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 일체형 세탁건조기의 제품별 소요시간은 원스톱 코스에서 2시간 30분~2시간 40분, 단독 세탁·건조 코스는 2시간 15분~2시간 47분 범위인데 삼성 제품이 LG에 비해 원스톱 및 단독 세탁코스는 10분, 단독 건조코스는 약 20분 소요시간이 짧았다.

세탁 성능과 물 사용량 테스트에서는 LG전자 제품이 삼성보다 우수했다. 오염물이 균일하게 묻어 있는 ‘인공 오염포’를 수건에 부착해 세탁물과 함께 세탁한 뒤 표면 반사율을 측정해 세탁 성능을 비교한 결과 삼성전자 일체형 세탁건조기는 세탁 후 반사율이 48%로 기존 삼성 드럼세탁기(47%)보다 1%포인트 높았다. LG의 경우 세탁 후 반사율은 51%로 LG 드럼세탁기(47%)보다 4%포인트 높았다. 반사율이 높을수록 세탁 성능이 좋다는 점을 고려하면 일체형끼리 비교한 세탁 성능은 LG가 더 우수하다.

삼성전자 제품의 원스톱 코스(106ℓ) 물 사용량이 단독 세탁·건조(83ℓ) 코스보다 20ℓ 이상 많은 반면 LG전자 제품은 원스톱 코스에서 83ℓ, 단독 세탁·건조 코스에서 84ℓ로 물 사용량이 비슷했다. 다만 삼성전자는 지난해 11월 소프트웨어(SW) 업데이트를 통해 원스톱 코스의 물 사용량을 단독 세탁코스와 유사한 수준으로 개선했다.

서정남 한국소비자원 스마트제품시험국 전기가전팀장은 “기존 드럼세탁기와 의류건조기 성능을 일체형 세탁건조기와 비교한 결과 세탁 성능은 개선됐고 건조 성능은 유사한 수준이었다”고 설명했다.

LG전자 모델들이 일체형 세탁건조기 트롬 오브제콜렉션 워시콤보 트루스팀 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 제공=LG전자LG전자 모델들이 일체형 세탁건조기 트롬 오브제콜렉션 워시콤보 트루스팀 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 제공=LG전자


노우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