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 올 R&D에만 800조 원…기술 패권 선점 속도[글로벌 모닝 브리핑]

※[글로벌 모닝 브리핑]은 서울경제가 전하는 글로벌 소식을 요약해 드립니다.




▲中 올 R&D에만 800조원…'제조2025' 화룡점정 찍는다

-전 세계에 딥시크발(發) 쇼크를 불러온 중국이 올해 800조 원에 육박하는 연구개발(R&D) 예산을 책정할 전망입니다. 특히 올해로 1단계를 마치는 ‘중국 제조 2025’의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했다는 점을 대내외에 과시하면서 향후 10년간 기술 경쟁을 선도할 ‘중국 제조 2025’ 시즌2에 속도를 낼 것으로 관측됩니다.





▲中 "동풍이 서풍 압도" 자신감…기술자립으로 '차보즈' 푼다

-중국이 경기 둔화 우려에도 국가 연구개발(R&D) 예산에 전폭적인 투자를 하는 이유는 미국과의 패권 경쟁의 승패가 기술 주도권에 달려 있다는 판단에서입니다. 중국제조 2025 계획을 발표한 2015년 중국의 R&D 예산 규모는 1조 4170억 위안(약 279조 원)이었으나 이후 해마다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며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다음 스텝은 환율전쟁…초장기 美국채 매입 요구할 듯

관련기사



-스티븐 미런 전 재무부 경제정책고문이 쓴 ‘글로벌 무역 시스템 재구조화를 위한 가이드’라는 이름의 보고서를 통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 마스터플랜을 엿봅니다. 미런은 41쪽 분량의 이 보고서에서 “동맹국들은 신뢰할 수 있는 무역 파트너인가”라는 기존 통념을 뒤집는 문제 제기를 하며 파격적인 제안을 내놨습니다.



▲獨 총선서 보수연합 승리…‘부채 브레이크’ 풀고 脫미국 선언

-23일(현지 시간) 치러진 독일 조기 총선에서 중도 우파 기독민주당(CDU)·기독사회당(CSU) 연합이 3년 만에 정권을 탈환했습니다. 앙겔라 메르켈 전 총리가 물러난 지 3년 만에 다시 중도 보수 정권이 들어선 셈입니다. 한편 잇단 이민자 범죄에 극우 정당인 'AfD'도 3년 전보다 두 배 많은 득표율을 기록하며 제2당 자리에 올랐습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 참석해 언론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AP연합뉴스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 참석해 언론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나토 가입하면" 젤렌스키의 '물러날' 결심?…700조 재건사업 속도내나

-우크라이나 전쟁 3년을 맞아 종전 협상이 구체화하고 있는 가운데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을 조건으로 대통령직에서 물러날 수 있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김민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