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원재료값 상승·꽉 닫힌 지갑에…식품기업 '죽을 맛'

매출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줄어

내수비중 높은 기업, 타격 더 커


국내 주요 식품기업 상당수가 지난해 영업이익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고환율과 원재료 가격 상승 등으로 부담이 커진 가운데 내수 침체가 지속되면서 상대적으로 내수 비중이 높은 기업들의 타격이 컸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CJ제일제당(097950)농심(004370) 등 주요 식품기업들이 지난해 매출은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은 줄어들며 수익성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CJ제일제당 식품 부문의 경우 지난해 매출은 11조 3530억 원으로 전년 대비 0.8% 늘었으나 영업이익은 6550억 원에서 6200억 원으로 5.3% 줄었다.



롯데칠성(005300)은 매출이 24.8% 늘었는데도 영업이익은 12.1% 줄었다. 농심 역시 매출은 0.8%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은 23.1% 감소했다. 롯데웰푸드(280360)는 영업이익이 11.3% 줄어들며 매출(-0.5%) 대비 감소세가 컸다. 다음달 실적 발표가 예정된 오뚜기(007310)의 경우 매출은 1.7% 늘어나지만 영업이익은 5.8%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관련기사







주요 식품기업들이 수익성이 이처럼 악화된 원인으로는 늘어난 원가 부담과 내수 시장 침체가 꼽힌다. CJ제일제당 식품 부문의 경우 지난해 해외 매출은 3.6% 증가했으나 국내는 1.8% 줄었다. 롯데웰푸드 역시 해외 매출은 1.2% 증가한 반면 국내 매출은 17.4% 감소하면서 실적을 끌어내렸다. 농심 역시 중국과 기타 지역에서 영업이익이 각각 27.0%, 62.8% 증가했음에도 국내에서의 영업이익이 무려 37.7%나 꺾였다. 롯데칠성의 음료 부문 내수 매출도 2.8% 줄어 7.3% 늘어난 수출과 대조를 보였다. 롯데칠성은 주류 부문에서도 내수는 0.8% 증가에 그친 반면 수출은 4.8% 늘었다.

문제는 올해도 이 같은 실적 부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이다. 해외에서의 K푸드의 인기에 힘입어 호실적을 보인 곳은 삼양식품 등 일부 기업에 불과할 뿐, 대다수는 늘어난 원가 부담과 내수 침체의 벽에 부딪혀 시름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결국 글로벌 매출 비중이 높은 곳들만 실적 호조를 보였다”면서 “해외 시장의 경우 규모의 경제로 인해 원가 부담이 적은 데다 비용 인상에 따른 가격 조정도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수익성 측면에서 낫다"고 말했다. 이어 “환율 변동에 대비해 지난해 미리 비축해둔 원재료도 소진돼 올해부터는 원가 부담이 더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고 우려했다.


김연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