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트럼프 "日·中 통화약세 계속하면 관세로 갚아줄것"

엔·위안화 절하 정책에 불만 표시

"우리에게 불이익 초래한다" 언급

"간단한 해결? 관세" 가능성 시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AP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본과 중국의 통화 절하 정책을 문제 삼고 관세 부과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들 국가의 통화 정책으로 미국 산업이 불리한 입장에 처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트럼프 대통령은 3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일본 엔화든 중국 위안화든 그들이 통화를 절하하면 우리에게 불이익을 초래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를 매우 간단하게 해결하는 방법은 관세"라며 "그들이 그렇게 한다면, 우리는 관세로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일중 양국의 통화정책이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의 이유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광업·건설기계 대기업의 미국 캐터필러를 언급하면서 "일본과 중국 등의 국가들이 자국 통화를 약세로 만들면 미국에서 트랙터를 제조하는 것은 매우 어려워진다"고 주장했다. 상대적으로 달러 가치가 강세를 보이면서 미국 내 생산 비용이 높아지고, 수출 경쟁력 약화와 수익성 악화 등 불리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트럼프 대통령은 양국에 이런 입장을 줄곧 건넸다고도 말했다. 그는 "나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일본 정상들에게 전화를 걸어 계속 통화를 절하할 수는 없다고 해왔다"고 밝혔다. 다만, 전화를 주고받은 것이 트럼프 1기였는지, 현 2기 정권 출범 후인지는 분명하게 말하지 않았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4월에도 소셜미디어에 엔저에 대해 "미국 제조업의 수출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대참사"라고 지적하며 불만을 표한 바 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직후 뉴욕외환시장에서 엔달러 환율은 달러당 150엔대 중반에서 149엔대 초반까지 하락(엔화가치 상승)하며 엔화 강세를 보였다.

4일 도쿄외환시장에서도 오전 10시 현재 149엔대 초반에서 거래되고 있다.


송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