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김동연, '5대 빅딜' 제안…"필요하면 증세도 말할 수 있어야"

"제7공화국으로 가야…진보·보수 통큰 빅딜이 해법"

대기업 CVC 외부자본 규제 완화·배임죄 면제 등 제안

이재명 'K엔비디아' 구상에 "기업·시장 이해 부족"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5일 서울 마포구 김대중도서관에서 열린 일곱번째나라LAB ·포럼 사의재 공동 심포지엄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김동연 경기도지사가 5일 서울 마포구 김대중도서관에서 열린 일곱번째나라LAB ·포럼 사의재 공동 심포지엄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5일 진보·보수 진영이 함께하는 ‘경제대연정’을 제안하며 “지금 필요한 것은 적극적인 재정의 역할이다. 증세도 말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박광온 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주도하는 ‘일곱번째나라LAB’과 포럼 사의재는 이날 서울 마포구 김대중도서관에서 ‘탄핵 이후 우리가 답해야 할 것들’이라는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심포지엄에는 김부겸 전 국무총리와 김 지사도 참석했다.



김 지사는 “우리는 새로운 나라, 제7공화국으로 가야 한다”며 “여야와 진보·보수, 노사가 통 크게 주고받는 빅딜이 해법”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기회경제 △지역균형 △기후경제 △돌봄경제 △세금-재정 등 5대 분야의 빅딜을 통한 ‘경제대연정’을 제안했다.

관련기사



먼저 ‘기회경제’ 분야에서는 대기업 CVC의 외부 자본 조달 제한 규제 완화, 기업의 합리적 경영 판단의 경우 2년간 배임죄 적용 면제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대통령 직속의 규제개혁위원회와 관련 전담기구를 신설할 필요가 있다”며 “국민연금, 퇴직연금, 연기금의 투자풀 500조 원, 즉 시가총액 2500조 원의 20%에 해당하는 금액을 추가로 K-주식에 투입해 자본시장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김 지사는 “감세로 무너진 나라를 감세로 일으켜 세울 수는 없다”며 “필요하다면 증세도 말할 수 있어야 한다. 여러 공제 등 비과세 감면 조항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향후 5년간 국가채무비율 5%p 올라가는 것을 감내하자”며 “총 200조 원을 집중 투자해 경제빅딜을 이뤄내야 한다”고 했다.

김 지사는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제안한 ‘K-엔비디아’ 구상에 대해 “기업과 시장의 특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김 지사는 “국부펀드를 통해 혁신 생태계를 만들려고 하는 것에 대해 사회주의적 발상이라고 하는 국민의힘의 비난은 전혀 타당하지 않다”면서도 “다만 지분 30%를 국민에게 나눠주는 등의 문제는 시장과 기업의 특성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게 아닌가 싶다”고 지적했다.

앞서 이 대표는 민주연구원 집단지성센터 대담에서 “(한국에) 엔비디아 같은 회사가 생겼다면, 70%는 민간이 가지고 30%는 국민 모두가 나누면 굳이 세금에 의존하지 않아도 되는 사회가 오지 않을까”라고 말했다.


도혜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