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中소비자물가, 13개월만에 하락…'디플레'가 '내수진작' 덮었다

2월 CPI 전년 대비 0.7% 떨어져

PPI도 2.2% ↓…29개월 연속 하락

나홀로 침체 걱정…中 "춘제 영향"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8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전국인민대표대회 2차 전체회의를 지켜보고 있다. AFP 연합뉴스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8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전국인민대표대회 2차 전체회의를 지켜보고 있다. AFP 연합뉴스




중국 정부가 최근 내수 진작 정책을 잇따라 쏟고 있음에도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가 13개월만에 하락 전환했다. 미국발(發) 관세 전쟁과 자국 과잉 생산 문제로 경제가 좀체 살아나지 못하고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위기로 빠져드는 분위기다.

9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지난달 CPI가 지난해 2월보다 0.7% 하락했다고 발표했다. 올 1월과 비교하면 0.1% 내렸다.



중국 CPI가 ‘마이너스’로 전환한 것은 지난해 1월 이후 처음이다. 하락 폭도 로이터통신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0.5%)를 뛰어넘었다. 중국의 전년 대비 CPI 상승률은 지난해 8월 0.6%, 9월 0.4%, 10월 0.3%, 11월 0.2%, 12월 0.1% 등 5개월 연속 둔화한 바 있다. 지난달에만 당국의 연이은 내수 진작 정책과 춘제(설날) 효과에 힘입어 0.5%로 뛰었다.

관련기사



중국의 경기 부진 신호를 드러낸 지표는 CPI뿐이 아니다. 이날 나온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PPI)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 떨어지며 29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중국 PPI는 지난해 6∼7월 -0.8%를 기록했다가 8월 -1.8%, 올 1월 -2.3% 등 하락 폭을 넓히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다른 주요국들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걱정하는 사이 중국만 물가 하락과 침체의 늪에서 탈출하지 못하는 셈이다.

로이터통신은 “글로벌 관세 위협과 중국 내 과잉 생산이 수출업자들을 전 세계적인 가격 전쟁으로 밀어넣고 있다”며 “상당수가 제품과 임금을 깎도록 강요받고 있어 세계 2대 경제 대국에 디플레이션 압박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진단했다.

이날 둥리쥔 중국 국가통계국 수석통계사는 CPI·PPI 동반 하락에 대해 “춘제 다음 달이라는 점, 일부 글로벌 대량(벌크) 상품 가격 파동, 휴가 등의 영향을 받았다”며 “PPI 하락폭이 좁혀진 만큼 물가 안정·회복세에 변함은 없다”고 설명했다.

/윤경환 기자 ykh22@sedaily.com


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