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전 국무총리가 2년 임기의 노무현재단 이사장을 12일 퇴임했다. 이임식에 앞서 정 이사장은 페이스북을 통해 “답답해 죽을 지경”이라며 노무현 전 대통령에게 보내는 편지글로 이임사를 올렸다.
20년 전 12일은 공교롭게도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날이었다. 대한민국 헌정사상 최초의 탄핵소추안 가결이었다. 파란만장한 노무현 대통령의 삶 가운데서도 가장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전국에서 탄핵 반대 촛불시위가 대대적으로 일어났다. 4월 15일 총선에서는 열린우리당이 152석을 얻어 여대야소 국회로 전환됐다. 2004년 5월 14일, 헌법재판소의 탄핵안 기각 결정으로 탄핵사태는 종결됐다.
20여 년이 지난 2025년 3월 12일, 대한민국은 여전히 대통령 탄핵 심판이라는 대혼돈의 시기를 지나고 있다. 벌써 세 번째다. 거리는 탄핵에 찬성하는 또는 반대하는 국민으로 전선이 만들어졌다. 상대에 대한 증오와 혐오가 넘실거린다. 거리에 직접 나서지 않은 국민 대다수도 답답해한다. 대한민국의 정치와 경제와 미래를 생각하면 답답해 죽을 지경이다.
정세균 노무현재단 이사장. 6선 국회의원으로 국회의장과 국무총리를 지낸 정치인이다. 여느 정치인과 좀 다른 점은 그의 ‘화법’이다. 거친 말을 들어본 적이 없다. 뭐든 부풀려 말하기를 싫어한다. 좀처럼 속내를 잘 드러내지도 않는다. 직설적이고 호방한 노무현 대통령과는 달리 그의 말에는 감정이 잘 묻어나지 않는다. 정치인으로서 그의 단점이자 장점이다. 그런 그가 노무현재단 이사장 임기를 마치고 물러나면서 “답답해 죽을 지경”이라고 했다.
정 이사장은 이임사에서 “재단 이사장으로 3년 봉사했으니 이제 노무현 전 대통령에게 진 빚을 절반쯤 갚은 셈”이라며 운을 뗐다. 노무현 대통령을 마지막으로 본 2009년 2월, 민주당으로 복당해 달라는 말을 건네지 못한 것을 두고두고 후회하며 빚진 마음으로 살았다고 한다.
그는 이임사 내내 ‘정치의 실종’을 답답해했다. ‘경고성 계엄령’을 선포하고도 부끄러움을 모르는 세상이라며 ‘상식이 통하는 세상’과 점점 멀어져가는 현실을 개탄했다. “갈등을 조정하는 것이 정치의 본령”이라는 노무현 대통령의 말을 인용하며, 지금은 그런 정치가 사라진 세상에 살고 있다는 답답함을 토로했다.
정치가 사라진 결과 “몰상식이 상식이 되고 비정상이 정상인 것처럼 행세하는 세상”이 되었다고 애둘러 평가했다. 지난달 4일 서울대에서 열린 ‘개헌 대담회’에서도 그는 정치의 실종을 비판했다. ‘무책임한, 극단적인 정당정치’는 정치가 아니라 전쟁이라며 정치의 복원을 호소했다. 정치하는 사람에게 정치가 사라진 공간은 얼마나 답답한 세상일까?
정 이사장은 재단 관계자들에게 “노무현이 꿈꾸던 세상에 대한 연구를 넘어, 그 세상을 어떻게 빨리 맞이할 것이냐에 집중하자”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진보적 열정을 가진 노무현의 후예들이, 노무현보다 더 노무현답게, 상식과 원칙이 통하는 세상을 열어가자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제가 할 일이 있다면 이야기해달라”는 여운을 남기며 노무현 대통령께 드리는 편지 이임사를 마무리했다. 재단 관계자에 따르면, 임기를 연장해 이사장 직을 계속 맡아달라는 재단의 요청을 본인이 극구 사양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