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토허제 풀자 기다린듯…'마용성' 뛰고 '노도강' 상승 전환[집슐랭]

한국부동산원, 3월 둘째 주 아파트가격 동향 조사

서초 0.49→0.62%, 강남 0.52→0.69%, 송파 0.68→0.72%

마포 0.11→0.21%, 용산 0.10→0.23%, 성동 0.08→0.29%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중구와 성동구 일대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중구와 성동구 일대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서울시가 지난달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동)’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해제한 뒤로 강남3구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주간 상승폭이 2~3배 뛴 것으로 조사됐다.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하락세도 멈추며 서울 전역으로 상승세가 확산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13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3월 둘째 주(3월 10일 기준)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전국 매매가격 변동률은 0.00%으로 지난주(-0.01%) 대비 보합 전환됐다. 수도권(0.02%→0.05%)과 서울(0.14%→0.20%)은 상승폭이 확대된 반면 지방은(-0.04%→-0.05%) 하락폭이 확대됐다.

관련기사



서울에서는 서초(0.49→0.62%), 강남(0.52→0.69%), 송파(0.68→0.72%) 등 강남3구의 상승폭이 매주 확대되고 있다. 마포(0.11→0.21%), 용산(0.10→0.23%), 성동(0.08→0.29%) 등 ‘마용성’ 상승폭이 2~3배 뛰면서 강남권 상승 흐름이 한강변 자치구로 옮겨붙는 흐름도 보였다. 노원(-0.03→0.00%), 도봉(-0.02→0.01%), 강북(-0.02→0.03%) 등 올 들어 하락세가 이어졌던 ‘노도강’에서도 하락세가 멈추면서 서울 25개 자치구 모두 상승 또는 보합을 기록했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비역세권·구축 등 비선호단지에서는 매수 관망추이가 지속되고 있으나 재건축 등 선호단지 위주로 수요가 집중되고 상승계약이 체결되는 등 서울 전체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