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금융硏 "각국 보호무역주의 확대에…은행, PF 선제 처리해야"

경기 위축으로 자산시장 충격 발생 우려 커져

"부동산 관련 미실현 기대손실 우선 처리해야"

시민들이 국내 은행 ATM기 옆을 지나가고 있다. 연합뉴스시민들이 국내 은행 ATM기 옆을 지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등 주요국가의 보호무역주의 확대에 따라 국내 은행이 자본비율을 상향하는 등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또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부동산 관련 잠재 손실도 선제적으로 처리해 유동성 관리를 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한국금융연구원은 15일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국내 은행산업에 대한 시사점’에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자국 산업의 우대 정책, 미·중 무역 갈등,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외정책 등 국내 금융산업에 구조적 변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은 “국내 은행은 기업 부문의 부실확대 가능성과 가계 및 내수에 미치는 효과, 글로벌 자금흐름 변화에 따른 자산시장의 변동성 증가 등을 고려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보호무역주의 확대로 인한 파급력 및 구조적 변화가 초래할 수 있는 스트레스 시나리오 상황을 고려해 잠재적 취약 요인에 대한 사전 대비 체계를 구축하고 시장여건 변화에 따른 금융 수요를 적극 충족해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국내 은행권은 이를 위해 자본 비율 상향과 PF 등 부동산 관련 잠재 손실 처리가 시급할 것으로 평가됐다. 경기 위축으로 인해 자산시장이 충격을 받게 되면 부동산금융과 연관한 미실현 기대손실이 커질 수 있는 만큼 우선 처리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 가계부채 역시 내수 위축 상황에 생활자금 수요 등 증가할 여지가 높은 만큼 총부채상환비율(DSR)의 적용 등으로 부실화를 막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유동성이 큰 외화자산 확보에도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연구원은 “글로벌 자금흐름이 축소되거나 역전되는 시나리오를 고려해 국내 은행은 고유동성 외화자산의 확보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며 “특히 아시아 경제 또는 신흥국에 미칠 효과도 고려해 외화 순자산 규모나 비율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효과적 대응 수단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 밖에 산업구조 개선, 신성장기반 육성 등을 통해 금융그룹 차원의 장기금융 및 투자금융 서비스도 확충하는 등 생산적 기반을 넓혀야 한다는 조언도 제시했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