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美백악관 "한덕수 대행과 협력에 전념"

트럼프 행정부, 韓 정부에 입장 전달

"한국과 국민의 민주주의 회복력 확신"

韓총리, 美관세 대응 정부회의체 격상

상법 운명 결정은 유보…내달 5일 시한


미국 백악관이 25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직무에 복귀한 것과 관련해 “한 권한대행, 대한민국 정부와 협력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총리실에 따르면 백악관은 우리 외교 당국에 이 같은 입장을 전해왔다. 백악관은 “미국은 한국과 한국 국민의 민주적 회복력을 확신한다”고도 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한 권한대행의 직무 복귀와 맞물려 한국 정부와 공고한 관계 구축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전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 권한대행은 윤석열 대통령이 직무 정지된 직후였던 지난해 12월 15일 조 바이든 당시 미국 대통령과 통화한 적이 있지만 올해 1월 20일(현지 시간)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한 후 정상 간의 직접 소통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우리 정부는 한 권한대행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를 조율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이재웅 외교부 대변인은 “한미 양국은 고위급 소통의 중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실무진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한 권한대행은 직무 복귀 이틀째인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통상관계장관 간담회’를 열고 “미 관세 정책 등 대외 불확실성 증가에 대한 대응력을 제고해야 한다”며 자신이 주재하는 ‘경제안보전략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기로 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이끌었던 ‘대외경제현안 간담회’를 격상한 것으로 기업·민간 전문가의 참여도 검토하고 있다. 미국발 통상 전쟁에 대응할 정부 회의체를 확대 개편하고 본격적인 대응책 모색에 착수한 셈이다. 한 권한대행은 각 부처 장관들에게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미국 고율 관세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라고 재차 지시했다.

한편 한 권한대행은 이날 이사의 주주 충실 의무를 규정한 상법 개정안에 대한 수용 여부를 결정하지 않았다. 거부권 행사 시한이 다음 달 5일인 만큼 여유를 갖고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정부 관계자는 개정안을 두고 정부 부처 간 의견이 엇갈리는 상황과 관련해 “산불로 인해 아직 한 권한대행에게 관련 보고가 올라가지 못했다”며 “중요한 것은 주무 부처(법무부) 의견이 아니겠느냐”고 전했다.


이승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