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창원 제조기업 75.5% 미국 관세정책에 직·간접 영향

미국 상호관세 발표에 촉각…고객사·유통망 계약 조건 악화 우려

창원상의 "외교·통상당국·기업 긴밀한 정보공유 채널 마련 필요"

창원상공회의소 전경.창원상공회의소 전경.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가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창원지역 제조기업 75.5%가 미국의 관세정책에 직·간접적 영향권에 노출돼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창원상공회의소는 지역 제조기업 131곳을 대상으로 한 미국 관세정책에 따른 지역기업 영향 조사 결과 기업의 75.5%가 직·간접적 영향권에 있다고 답했다고 1일 밝혔다.



구체적으로 ‘직접 영향권에 있다’고 답한 기업은 22.9%, ‘간접 영향권’은 51.1%다. 1.5%는 ‘반사이익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다. 24.4%는 ‘미국 관세정책과는 무관하다’고 응답했다.

관련기사



관세 영향권에 속한 기업 중 ‘미국 수출기업에 부품·원자재를 납품하는 기업’이 30.3%로 가장 많았다. 이어 △미국에 부품·원자재 수출하는 기업(18.2%) △미국에 완제품을 직접 수출하는 기업(16.2%) △중국에 부품·원자재를 수출하는 기업(11.1%) 순이다.

관세정책 중 창원지역 기업이 가장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는 정책은 ‘미국에 수입되는 모든 자동차·반도체·의약품에 25% 관세 부과’(38.9%)다. 이어 미국에 수입되는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25% 추가 관세 부과(31.0%),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10% 추가관세 부과 및 최소 면세 혜택 박탈(20.6%) 등이 뒤를 이었다.

관세정책이 현실화하면 ‘고객사 및 유통망과 계약 조건 악화’(29.1%)를 가장 우려했다. 이어 ‘부품·원자재 조달망 조정’(25.5%), ‘생산기지 이전 등 추가 비용 부담’ 및 ‘간접 영향으로 기업 매출 감소’(각 14.9%) 순이다.

미국 상호관세 발표가 임박했지만 창원지역 제조기업 대부분이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 기업의 43.4%는 ‘아직 동향 모니터링 중’이라고 답했으며, 29.3%는 ‘원가절감 등 자체 대응책 모색 중’, 21.2%는 ‘대응계획 없음’, 6.1%는 ‘현지생산·시장 다각화 등 근본적인 관세 회피 대응책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

창원상의 관계자는 “창원지역 기업의 대부분이 직·간접적으로 미국의 관세정책 영향권 내에 있어 현실적 경영 위험이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외교 및 통상당국과 기업간 긴밀한 정보공유 채널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창원=박종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