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현대백화점, 면세 폐점 연 350억 고정비 절감…목표가 12% 상향 [줍줍리포트]

[유안타증권 보고서]

동대문점 폐점으로 연 350억 고정비 절감 전망

현대면세점이 1일 동대문점 폐점을 밝혔다. 연합뉴스현대면세점이 1일 동대문점 폐점을 밝혔다. 연합뉴스




현대백화점(069960)이 면세사업 경영 효율화를 본격 추진함에 따라 고정비 절감과 주가 상승 가능성이 커졌다며 목표주가를 기존 7만 5000원에서 8만 4000원으로 12% 상향 조정했다.



이승은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2일 보고서를 통해 “현대백화점의 면세 사업 구조조정 전략에 따라 고정비 절감과 수익성 개선 효과가 현실화되고 있다”며 “특히 동대문점 폐점으로 인한 연간 고정비 절감 효과가 2026년부터 연 350억 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관련기사



앞서 현대백화점은 전날 수익성이 악화된 면세 사업의 턴어라운드 전략을 발표하며, 연 거래액 6000억 원 수준의 동대문점을 2025년 8월부터 폐점하기로 했다. 이 연구원은 “동대문점의 연간 영업적자는 약 250억 원으로, 무역점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럭셔리 브랜드 중심의 MD 전략을 갖춘 무역점이 장기 수익성 측면에서 더 유리하다고 판단한 결정”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동대문점 폐점에 따른 일회성 비용은 총 50억 원(유형자산 폐기 손실 30억 원, 인력 구조조정 비용 20억 원)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현대백화점은 2025년 하반기부터 무역점 단독 운영 체제 전환을 통해 시내 면세점만으로도 영업 손익분기점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보수적으로 계산해도 공항점과 무역점의 실적을 합산하면 면세사업 전체가 흑자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다.

한편 이 연구원은 “2024년 현대백화점 면세점 사업의 전체 영업적자는 288억 원으로, 동대문점 철수 이후 무역점의 저효율 MD 축소와 고수익 내국인 중심 MD 강화, 공항점의 매출 증가세가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동대문점 임차료 지급 종료 여부는 현재 건물 소유주인 두산과 협상이 진행 중이며 아직 미확정 상태”라고 덧붙였다.



서종갑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