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학기 등록을 마친 15개 대학 의대생들의 수업 참여 비율이 4%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40개 의대 재적생이 사실상 전원 등록을 마쳐 대규모 미등록 제적 사태는 피했지만 의대생들의 등록 후 수업 참여 거부 움직임이 전국 의대로 확산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의대 교육 정상화까지 난항이 예상된다. 의대생들의 투쟁 ‘2라운드’가 시작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자 교육 당국은 대학에 학습권 침해 행위에 대해 엄정 조치해 달라고 요청했다.
의대생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2일 배포한 보도자료에서 회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5개 의대 재학생 6571명 중 수업에 참여하고 있거나 참여 예정인 학생은 254명(3.87%)이라고 밝혔다. 의대협은 학교별 자체 조사 결과를 토대로 수업 참여율을 집계했고 의대 재학생의 80~90%가 조사에 참여했다고 전했다.
의대협에 따르면 가천대(1명), 한림대(3명), 고려대(9명), 아주대(5명) 등 수업 참여 의사를 밝힌 학생이 한 자릿수에 불과했다. 순천향대(2.01%), 동아대(3.49%), 충남대(3.65%), 연세대 미래캠퍼스(3.79%), 가톨릭대(3.93%), 이화여대(4.89%)도 수업 참여율이 5%에 미치지 못했다.
이선우 의대협 비대위원장은 “협회의 방향성이 투쟁으로 수렴됐음을 알린다”며 “각 학교에서는 대의원의 안내를 잘 따라주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미등록 방침을 유지했던 인제대 의대생들이 전날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의대생 전원 등록이 확정됐지만 의대협이 등록 후 수업 거부 기조를 공식화하면서 의대 교육 파행 가능성도 커졌다. 실제 의대에서 수업 불참을 종용하는 행위가 잇따라 확인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교육부는 각 대학에 수업 거부 강요로 피해를 입는 학생들이 없도록 무관용 대응을 주문했다.
교육부는 지난달 31일 40개 의대에 ‘의대 학생 보호·신고 센터 안내 협조 요청’ 공문을 보내 “최근 신고센터를 통해 집단행동 강요 피해 사례 신고가 계속되고 있다”며 “학생에 대한 피해 사례를 인지할 경우 엄정 조치하길 바란다”고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