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은행 실질 예금금리는 '제로'

신한·BNK 등 2%대 수준 그쳐

韓銀 추가 금리인하 땐 더 하락


석 달째 물가 상승률이 2%를 웃돌면서 시중은행의 실질 예금금리가 ‘제로’ 수준으로 떨어졌다. 낮은 금리에 정기예금에서 빠져나온 돈은 트럼프발(發) 무역전쟁과 정치 불확실성에 금과 가상자산, 투자 대기 자금으로 흘러들어가고 있다.



2일 금융계에 따르면 BNK경남은행의 1년 만기 ‘더 든든예금’의 기본금리는 연 2.0%로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2.1%)을 고려한 실질금리는 마이너스다. 신규 고객과 마케팅 동의, 이벤트 금리 등 우대 항목을 더해도 실질금리가 0%대다.

관련기사



제주은행의 1년제 ‘스마일드림정기예금’ 역시 기본금리가 2.05%에 불과하다. 신한은행의 ‘쏠편한예금’과 SH수협은행의 ‘Sh첫만남우대예금’의 기본금리도 2.15%다. 이들 상품은 우대금리 항목이 존재하지만 각종 부대 조건이 달리는 만큼 실질금리가 사실상 제로로 가는 셈이다. SC제일은행도 1일부터 예금금리를 최대 0.2%포인트 낮췄다. 만기 1~6개월의 예금금리는 1.95~2.1% 수준이다.

시장에서는 국내 경기가 빠르게 꺾이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한국은행이 추가로 기준금리를 내릴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경우 은행의 예금금리는 더 하락하게 된다. 실제로 금리 매력도가 떨어지면서 올 들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이 4조 6400억 원가량 감소했다. 박태형 우리은행 TCE시그니처센터 PB지점장은 “무역 전쟁에 따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수요가 많다”며 “트로이온스당 4000달러까지 간다는 전망도 있어 예금에서 나온 자금이 금 관련 투자로 이동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공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