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지지율이 43%로 지난 1월 취임한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다. 전세계에 관세 전쟁을 선포한 것에 대한 우려와 시그널 게이트, 외교정책의 여파가 그 원인으로 꼽힌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2일(현지시간) 마감한 로이터와 입소스 여론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은 43%로, 지난달 21~23일 지지율보다 2%p 하락했고 1월 20일 취임 직후 지지율보다 4%p 떨어졌다. 이번 여론조사는 3일 동안 미국 성인 1486명을 대상으로 실시했고 오차범위는 3%다.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은 1기 때보다는 높게 유지되고 있다. 지난 2017년 1월 1기 행정부 출범 직후 지지율은 49%로 가장 높았으며, 가장 낮았던 지지율은 같은 해 12월의 33%였다.
전임인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의 지지율이 지난해 11월 대선 직전에 최저치인 35%를 기록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이 하락한 주요 원인으로는 관세 정책과 경제 문제가 크다. 여론조사 응답자 중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을 지지하는 비율은 37%, 높은 생활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그의 노력을 지지하는 비율은 30%에 불과했다.
또한 응답자의 52%는 트럼프 대통령이 2일 발표한 상호관세가 주변 사람들에게 피해를 줄 것이라고 응답했다. 거의 같은 비율로 다른 응답자들은 관세 인상이 득보다 실이 클 것이라고 답했다. 3분의 1은 관세가 피해를 끼칠 것이라는 주장에 동의하지 않았으며 이들은 대부분 공화당 지지자였다.
JD 밴스 부통령,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 마이크 왈츠 국가안보보좌관 등이 후티 반군 공습을 민간 메신저 앱인 시그널에서 논의한 '시그널 게이트'와 관련해서는 응답자의 74%가 "무모하다"고 평가했다. 민주당원의 91%뿐만 아니라 공화당원의 55%도 이에 동의했다. "무해한 실수"라는 의견은 22%에 불과했으며, 응답자의 70%가 트럼프 대통령이 이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답했다.
응답자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외교정책에 대해서도 반대 의사를 내비쳤다. 그의 외교정책을 지지한다는 비율은 34%에 그쳤으며, 이는 지난달 21~23일 여론조사에 비해 3%p 떨어진 것이다. 이민 정책에 대한 지지율은 48%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