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염재호 “2030년까지 정부 업무 95% AI 적용해야”

■ 염재호 국가인공지능위원회 부위원장

"AI·데이터 관장하는 별도 부처 필요"

"소버린AI·클린 데이터 적극 확보해야"

염재호 국가인공지능위원회 부위원장이 AI 글로벌 컨퍼런스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염재호 국가인공지능위원회 부위원장이 AI 글로벌 컨퍼런스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염재호 국가인공지능(AI)위원회 부위원장이 8일 “2030년까지 정부 업무의 95%를 AI와 함께 진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국가AI위원회는 지난해 9월 출범한 대통령 직속 위원회로 AI 정책 전반을 심의하는 조직이다.



염 부위원장은 “AI 경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데이터를 관장하는 별도의 부처가 꼭 있어야 한다는 것”이라며 “AI컴퓨팅센터 관장, 기술 개발과 인재 육성, 빅테이터 관리까지 도맡을 조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염 부위원장은 제19대 고려대 총장을 지낸 뒤 태재대 총장을 맡고 있는 교육계 원로이면서 현재는 한국 AI 산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관련기사



염 부위원장은 AI 업무를 담당하는 별개의 조직이 있어야 정부 업무 전반에 AI를 적용하는 혁신이 이뤄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는 데이터와 지식재산권 관리, AI 인재 육성 등의 업무가 행정안전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통계청·개인정보보호위원회·문화체육관광부 등 여러 부처에 흩어져 있어 통합적인 개편을 추진하는 데 한계가 있다. AI 정부로의 변화를 위해 부처 간 칸막이를 넘나들며 AI 관련 업무를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별도 조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염 부위원장은 AI 전담 조직이 맡아야 할 역할도 제안했다. 그는 “AI 전담 부서가 만들어지면 해야 할 일이 세 가지 정도 있다”며 “우선 AI컴퓨팅센터를 마련해 ‘소버린(주권) AI’를 만들기 위한 컴퓨팅 파워를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소버린 AI는 각 국가나 지역의 문화·역사·가치관을 반영한 맞춤형 AI다. 오픈AI의 챗GPT와 구글 제미나이 등 해외 빅테크가 이끄는 AI 시장에서 한국에 특화된 주권을 가진 AI 모델을 개발해 주도권을 확보해야 한다는 의미다.

염 부위원장은 이어 “획기적인 인재 확충과 ‘클린 데이터’ 활용이 필요하다”며 “통계청을 빅데이터청 혹은 데이터부로 확대 개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클린 데이터는 말 그대로 ‘깨끗하게 정제된 데이터’를 의미한다. 오타·오류나 중복된 내용 등 불필요한 내용이 없고 분석·활용이 가능한 상태의 데이터다. 이를 위해서는 원본 상태의 로(raw) 데이터를 AI가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정리하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염 부위원장은 “AI가 도입되면 정부 업무가 효율화되고 인력 수요도 많이 줄어들 것”이라며 “남는 인력은 데이터 클리닝 업무와 국민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신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