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한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대한민국이 세계를 주도하는 ‘K-이니셔티브’ 시대를 열겠다고 밝혔다. 이번이 세 번째 대선 도전인 이 전 대표는 지난 대선 때보다 “더 절박해지고 더 큰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며 선거에 임하는 진정성을 부각했다. 그는 경제 패러다임이 과거와 달라졌다는 점을 부각하며 첨단 산업 육성에서 정부의 역할론을 강조하기도 했다.
대선 슬로건 ‘이제부터 진짜 대한민국’
이 전 대표는 11일 국회에서 ‘비전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대선 슬로건을 공개했다. 메인 슬로건은 “이제부터 진짜 대한민국”, 브랜드 슬로건은 “지금은 이재명”이다. 이 전 대표는 “이제부터 진짜 대한민국이 시작된다”며 “전략적 눈높이로 세계정세에 대응하며 변화에 가장 기민하게 대처하는 외교 강국, 양적 성장을 넘어 질적 성장을 주도하고 첨단 산업을 선도하는 경제 강국”을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또 “충돌하는 이해와 갈등을 조정하며 ‘사회적 대타협’으로 함께 사는 공동체를 만드는 민주주의 강국, K-민주주의와 K-컬쳐 콘텐츠, K-과학기술과 K-브랜드까지 세계문명을 선도하는 소프트파워 강국”이 될 것이라고 역설했다.
“AI시대 초거대 자본력, 국가가 나서야”
성장을 위한 정부 역할의 중요성도 부각했다. 이 전 대표는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한 첨단과학기술 시대가 시작되면서 초거대 기술력과 자본력이 필요해졌다”며 “이는 개별 기업이 감당하기 어려운 것으로, 기술 투자든 연구개발이든 인재 양성이든 국가 단위의 지원과 투자, 협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기업들이 공익적, 합리적으로 기업 활동에 의해 생긴 이익을 독식하는 것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나눠야 한다”며 “최근 특정 기업이 다른 나라에 인수합병되는 것보다 국내에서 투자 유치하는 것이 낫지 않겠냐는 논의도 있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경제 패러다임이 많이 변했다”며 “정부 역할이 중요한 시대가 다시 도래했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재명이 달라졌다”
이 전 대표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두 번째 대선 출마인데 무엇이 달라졌냐’는 기자들 질문에 “두 가지가 달라졌다”고 답했다. 우선 “지난 대선은 더 나은 세상을 위한 경쟁이었다고 한다면 지금은 대한민국이 나락으로 떨어지지 않게 막을 것이냐, 제자리를 찾아 앞으로 나아갈 것이냐를 결정하는 국면”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난 대선에서는 최소한 반헌법세력, 반국가세력에 의한 공동체 파괴의 위협 이런 것이 없었다”며 “그런데 이번에는 내란이 계속되고 국가 공동체 파괴 시도 세력도 여전히 남아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파괴와 퇴행의 과거로 갈 것인가, 회복과 성장의 정상적 세계로 갈 것인가 하는 역사적 분기점, 분수령 같은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전 대표는 “또 하나는 이재명이 좀 달라졌다”고 말했다. 그는 “좀 더 절박해졌고 좀 더 간절해졌고 좀 더 큰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 전 대표는 이날 대선 경선을 함께 끌고 갈 캠프 인선을 직접 소개했다. 친명(친이재명)계는 물론 문재인 정부 청와대 출신 인사들도 고루 발탁해 균형을 맞췄다.
캠프 선거대책본부장은 5선의 윤호중 의원이 맡는다. ‘86세대(80년대 학번·60년대생)’ 맏형격인 윤 의원은 당 원내대표와 사무총장, 정책위의장을 두루 거쳤다. 이해찬계 인사로 꼽힌다. 캠프 실무를 도맡을 총괄본부장에는 97그룹(90년대 학번·70년대생)의 대표적인 인사이자 전략통으로 평가되는 강훈식 의원이 발탁됐다.
문재인 청와대 정무수석비서관 출신인 3선의 한병도 의원이 상황실장을, 국민소통수석으로 일했던 박수현 의원이 공보단장을 맡는다. 친명계 핵심 인사로 분류되는 김영진 의원은 정무전략실장을 맡았다. 지난 대선 캠프에서 정책을 도맡았던 윤후덕 의원은 이번에도 다시 정책본부장을 맡아 이 후보의 공약 구상을 돕는다. 이해식 의원은 비서실장을, 이소영 의원은 토론본부장으로 선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