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포장 주문도 수수료? 남는 게 없어요"…배민에 뿔난 점주들 '서비스 해지'

사진은 해당 기사 내용과 무관. 이미지투데이사진은 해당 기사 내용과 무관. 이미지투데이




배달의민족(이하 배민)이 포장 음식에도 주문 수수료를 부과한다고 밝히면서 자영업자들이 반발하고 있다.

배민을 운영하는 우아한 형제들은 14일부터 포장주문 중개 수수료(이하 포장 수수료) 6.8%를 정상 과금한다고 밝혔다. 앞서 배민은 지난해 7월 배달 중개 수수료를 6.8%에서 9.8%로 전격 인상한다고 발표하면서 포장 주문 서비스도 유료화했다. 다만 2025년 3월까지 신규 업주의 포장 중개 수수료를 50% 깎아주고 기존 업주에게는 포장 수수료를 받지 않기로 한 바 있다.



우아한 형제들은 포장 주문이 활성화될수록 업주의 수익성은 더 개선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배달 앱(애플리케이션) 평균 주문 객단가를 2만5000원으로 가정할 경우, 포장 수수료 1700원을 낸다고 해도 3400원 안팎의 배달비를 절약할 수 있다는게 우아한 형제 측의 설명이다.

관련기사



또 앱을 통한 포장 판매는 오주문이나 노쇼 등 리스크 비용을 없애 업주 입장에서는 배달 앱 전체 판매 중 포장 비중이 늘어날수록 수익을 늘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우아한 형제들은 포장 주문에 대한 고객 할인 혜택과 앱 화면에서의 노출을 강화해 현재 5% 안팎에 그치는 포장 주문 비중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그러나 당장 수수료가 늘어난 점주들은 부담을 토로하고 있다. 경기 침체로 매출이 하락하는 가운데 포장 주문 수수료까지 낼 경우 남는 게 없기 때문이다.

일부 점주는 포장 수수료 도입에 반발하며 포장 서비스를 해지했다. 한 업체 관계자는 "본사 지침은 없으며 점주 재량"이라면서 "포장은 자사 앱으로 주문하면 할인 쿠폰과 같은 혜택이 훨씬 크기 때문에 배민 주문이 많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자영업 업계는 포장 수수료로 비용 부담이 커져 결국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관계자는 "포장 수수료를 받아 소비자 할인 혜택을 마련한다고 했는데, 이는 자영업자로부터 돈을 받아간단 의미일 뿐 상생의 의지가 없는 것"이라며 "결국 업주 부담이 늘어나는 악순환이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플랫폼 사업 주무부처인 공정거래위원회는 "포장 수수료의 경우 지난해 업체들의 자율규제 방안 이행점검 후 결정됐던 사안"이라며 "자율 규약으로 정해진 탓에 법으로 강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다만 공정위는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시장 여건에 따라 포장 수수료에 대한 점검 여부를 검토할 방침이다.


김규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