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첫 흑자 낸 토스뱅크, 시니어 공략 ‘시동’

전담조직 신설·특화상품 개발

대출 등 中企 금융서비스 강화

동남아 등 글로벌 시장 진출도

이은미 토스뱅크 대표가 16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페어몬트호텔에서 열린 ‘토스뱅크 2025 미디어데이’에서 중장기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뉴스1이은미 토스뱅크 대표가 16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페어몬트호텔에서 열린 ‘토스뱅크 2025 미디어데이’에서 중장기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뉴스1




창사 이후 첫 연간 흑자를 달성한 토스뱅크가 시니어 시장 공략에 나선다.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토털 금융 서비스와 해외 진출도 추진한다.



토스뱅크는 16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향후 3~5년의 중장기 전략을 공개했다.

관련기사



토스뱅크는 중장년·시니어 고객 전담 조직을 신설하고 관련 상품·서비스를 내놓는다. 베이비붐 세대로 은퇴기를 맞은 중장년층의 금융 수요가 커지고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실제로 현재 토스뱅크 고객 2명 중 1명(48%)이 40대 이상이다. 토스는 이들에게 헬스케어를 비롯한 라이프케어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 이은미 토스뱅크 대표는 “시니어라고 하면 고령층을 떠올리는 경우가 많은데 토스뱅크의 타깃은 소비생활이나 사회 활동에 적극 참여하는 활동적인 시니어가 될 것”이라며 "대출보다는 자산관리나 수신 쪽에 더 집중하고 금융·비금융 결합 상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기 대출도 강화한다. 인터넷전문은행은 관련법상 대기업 대상 영업은 하지 못하는 만큼 중기 시장을 노린다는 계획이다. 이 대표는 “초반에는 보증 기반 대출을 위주로 영업할 것”이라며 “개인금융과 결이 달라 시간은 걸리겠지만 예금 등 수신 상품과 환전, 송금 서비스까지 제공하는 토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해외시장에도 진출한다. 동남아 등 개발도상국과 함께 선진국 시장도 대상으로 보고 있다. 진출 방식으로는 지분투자나 조인트벤처(JV), 서비스형 뱅킹(BaaS) 등을 고려하고 있다. 이 대표는 “토스뱅크의 성장곡선을 보다 가파르게 만들어 줄 원동력은 글로벌 시장에 있다”며 “선진 시장은 금융 시스템 대비 고객 경험이 선진화돼 있지 않아 이 부분에서 할 수 있는 게 많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주택담보대출도 내년 중 선보인다. 이 대표는 “내년 주담대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주담대는 한 번 나가면 30년, 그 이상도 이어지기 때문에 치밀하게 계획해야 한다”며 “기존 상품과는 다른 접근 방법으로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토스뱅크는 주식으로 보면 성장주”라며 “성숙기에 진입하면 수익화에 집중하겠지만 현재는 성장 엔진을 돌리는 데 초점 맞출 것”이라고 덧붙였다.


신중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