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사 이후 첫 연간 흑자를 달성한 토스뱅크가 시니어 시장 공략에 나선다.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토털 금융 서비스와 해외 진출도 추진한다.
토스뱅크는 16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향후 3~5년의 중장기 전략을 공개했다.
토스뱅크는 중장년·시니어 고객 전담 조직을 신설하고 관련 상품·서비스를 내놓는다. 베이비붐 세대로 은퇴기를 맞은 중장년층의 금융 수요가 커지고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실제로 현재 토스뱅크 고객 2명 중 1명(48%)이 40대 이상이다. 토스는 이들에게 헬스케어를 비롯한 라이프케어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 이은미 토스뱅크 대표는 “시니어라고 하면 고령층을 떠올리는 경우가 많은데 토스뱅크의 타깃은 소비생활이나 사회 활동에 적극 참여하는 활동적인 시니어가 될 것”이라며 "대출보다는 자산관리나 수신 쪽에 더 집중하고 금융·비금융 결합 상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기 대출도 강화한다. 인터넷전문은행은 관련법상 대기업 대상 영업은 하지 못하는 만큼 중기 시장을 노린다는 계획이다. 이 대표는 “초반에는 보증 기반 대출을 위주로 영업할 것”이라며 “개인금융과 결이 달라 시간은 걸리겠지만 예금 등 수신 상품과 환전, 송금 서비스까지 제공하는 토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해외시장에도 진출한다. 동남아 등 개발도상국과 함께 선진국 시장도 대상으로 보고 있다. 진출 방식으로는 지분투자나 조인트벤처(JV), 서비스형 뱅킹(BaaS) 등을 고려하고 있다. 이 대표는 “토스뱅크의 성장곡선을 보다 가파르게 만들어 줄 원동력은 글로벌 시장에 있다”며 “선진 시장은 금융 시스템 대비 고객 경험이 선진화돼 있지 않아 이 부분에서 할 수 있는 게 많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주택담보대출도 내년 중 선보인다. 이 대표는 “내년 주담대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주담대는 한 번 나가면 30년, 그 이상도 이어지기 때문에 치밀하게 계획해야 한다”며 “기존 상품과는 다른 접근 방법으로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토스뱅크는 주식으로 보면 성장주”라며 “성숙기에 진입하면 수익화에 집중하겠지만 현재는 성장 엔진을 돌리는 데 초점 맞출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