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성장·소득 증대’ 외치는 후보들, 잠재성장률 제고 방안 토론하라

유종일 ‘성장과 통합’ 상임공동대표가 16일 국회에서 열린 출범식에서 ‘3·4·5 성장 전략’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유종일 ‘성장과 통합’ 상임공동대표가 16일 국회에서 열린 출범식에서 ‘3·4·5 성장 전략’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대선 싱크탱크인 ‘성장과 통합’이 16일 출범하면서 인공지능(AI) 등 신성장 동력 육성을 강조했다. 이 싱크탱크는 2030년까지 3% 잠재성장률, 4대 수출 강국, 1인당 국민소득 5만 달러를 뜻하는 ‘3·4·5 성장 전략’을 내놓았다. 이 전 대표는 올해 들어 ‘잘사니즘’ 구호를 외치면서 ‘성장 우선’을 강조해왔다. 국민의힘의 대선주자인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홍준표 전 대구시장, 한동훈 전 대표, 안철수·나경원 의원 등도 저마다 ‘지속 성장’ 추진의 적임자를 자임하고 있다. 김 전 장관은 “자영업자가 폐업하고 있는 제로 성장의 시대에 대한민국을 다시 일으켜세워야 한다”며 투자와 일자리를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 전 대표는 AI 3대 강국, 국민소득 4만 달러, 중산층 70% 확대 등 ‘3·4·7 비전’을 내걸었다. 나 의원은 잠재성장률 1%포인트 상승을 통한 국민소득 4만 달러 달성 등을 제시했다.

관련기사



하지만 양당의 대선주자들이 ‘트럼프 스톰’ 속에 심화되는 경기 침체와 저성장을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 실천 의지를 갖고 있는지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다. 한국은행은 올해부터 5년간 평균 잠재성장률을 1.8%로 예상하며 2040년대 ‘0%대 성장률’ 추락을 경고했다. 대선주자들은 말로만 성장을 외치지 말고 어떻게 잠재성장률을 1%포인트 끌어올릴 수 있을지 구체적 청사진을 밝혀야 한다. 잠재성장률을 끌어올리려면 노동·연금 등 구조 개혁, 규제 혁파를 토대로 초격차 기술 개발과 인재 육성으로 신성장 동력을 점화해야 한다. 저출생·고령화 문제 극복과 국력 결집은 기본 과제다. 이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지 못하면 ‘잠재성장률 3%’ 목표는 2007년 대선에서 당선된 이명박 후보의 ‘747(연평균 7% 성장, 1인당 소득 4만 달러, 세계 7대 강국)’ 공약처럼 선거 구호로만 그칠 수도 있다.

성장률을 올려야 질 좋은 일자리 창출, 지속 가능한 성장과 복지의 선순환, 튼튼한 안보 체제 구축 등이 가능하다. 이 전 대표가 ‘성장 우선’을 실천하려면 포퓰리즘 공약과 규제 입법에 대한 유혹을 떨치고 주 52시간 근로제 예외 등 노동 개혁에 협조해야 할 것이다. 국민의힘 주자들도 ‘반(反)이재명’ 구호에만 매몰되지 말고 성장 엔진 점화를 위한 구체적 정책을 내놓아야 한다. 대선주자들이 진흙탕 정쟁에서 벗어나 잠재성장률 제고 방안을 놓고 치열하게 토론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