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잠재된 외환시장 불안 등으로 금리인하가 지연됐다”면서도 “고금리 부담과 내수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관세 충격까지 더해지면서 경제 하방 압력이 높아졌다”고 진단했다.
이 원장은 17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동결 직후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주요 임원들을 대상으로 금융상황점검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 원장은 “글로벌 경제·금융시장 전망이 하향 조정되는 가운데 관세협상 난항과 미국 신뢰 악화가 금융 시스템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고도의 경계감을 갖고 금융시장 안정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이 원장은 “관세 충격이 큰 수출 기업, 협력 업체, 산업단지 인접 자영업자의 현장 애로를 면밀히 파악하라”고 주문했다. 아울러 이들의 애로를 해결하기 위한 금융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시했다. 그는 수출 기업의 매입 외환 만기·금리 우대, 투자·운전자금을 예로 들었다.
이 원장은 “금융권이 관세 대응에 필요한 자금지원 여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자본·유동성 규제 합리화를 포함한 감독 행정 조치를 적극적으로 시행하라”고도 요청했다. 이와 함께 “경기 부진이나 고금리 부담 등에 취약한 가계·소상공인·기업 연체 증가가 금융권의 자금공급 기능 위축으로 이어지지 않아야 한다”며 “금융회사의 손실 흡수 능력을 포함한 건전성 관리에 만전을 기하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