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진열된 빵에 혀 '낼름'…논란에 빵집이 내린 '특단 조치'

어린아이가 혀를 댄 영상이 확산되며 논란이 된 빵. 강민서 기자어린아이가 혀를 댄 영상이 확산되며 논란이 된 빵. 강민서 기자




최근 한 유명 빵집에서 아이가 진열된 빵에 혀를 댄 영상이 확산되자 해당 업체가 모든 진열 빵에 덮개를 설치하는 조치를 취했다.

이 빵집은 이달 16일부터 오랫동안 고수해온 오픈형 진열 방식을 중단하고 모든 제품에 덮개를 씌우기 시작했다. 관할 구청의 권고에 따른 조치다.



구청 관계자는 한경닷컴에 "지난 15일 해당 빵집에 권고 조치를 취했고 바로 다음날부터 시정됐다"며 "빵을 오픈 진열해 판매하는 제과점에 대해 포장이나 유리덮개가 법적 의무 사항은 아니지만 소비자 신뢰를 위해 앞으로도 위생 관리 차원의 포장을 지속적으로 권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이번 논란은 이달 12일 서울의 유명 빵집에서 한 남자아이가 진열된 빵 위 슈가 파우더를 핥는 장면이 온라인을 중심으로 퍼지면서 불거졌다. 해당 영상은 현장을 목격한 외국인이 촬영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리면서 급속히 확산됐다.

이를 접한 누리꾼들은 “아이를 제지하지 않은 보호자에게 더 큰 책임이 있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제과점에서 일하고 있다는 한 누리꾼은 "특히 3~5세 아이들이 오면 통제가 어렵다"며 "포장되지 않은 빵을 손으로 만지거나 핥는 경우가 있어도 보호자에게 말하면 어쩌라고 식의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고 토로했다.

빵 진열 관련 위생 문제는 과거에도 여러 차례 지적된 바 있다. 지난해에는 "겨울철 의류에서 떨어지는 먼지가 오픈형 빵에 닿는다"며 불쾌감을 호소하는 SNS 글이 주목받았다. 2017년에는 초등학생이 진열된 빵을 만져 손님과 직원 간 갈등이 발생한 사례도 있었다.

식품 위생 전문가들은 "오픈형 진열 방식은 시각적 효과는 있으나 위생 측면에서 취약점이 많다"고 지적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식품 판매점의 진열 방식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보완하고 소비자와 판매자 모두를 위한 합리적인 위생 기준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강민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