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北 '최현함' 첫 미사일 발사…김정은 "해군 핵무장 속도내라"

■진수 사흘만에 무기체계 시험

방공무기 등 러 기술지원 관측

러 전승절 최룡해 참석 가능성

북한의 다목적 구축함 ‘최현함(북한식 표기 ‘최현호’)에서 미사일이 발사되고 있는 모습을 조선중앙통신이 30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북한의 다목적 구축함 ‘최현함(북한식 표기 ‘최현호’)에서 미사일이 발사되고 있는 모습을 조선중앙통신이 30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신형 ‘다목적구축함’ 최현호(號) 진수 사흘 만에 진행된 첫 무장 시험 사격을 참관하는 모습을 조선중앙통신이 30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신형 ‘다목적구축함’ 최현호(號) 진수 사흘 만에 진행된 첫 무장 시험 사격을 참관하는 모습을 조선중앙통신이 30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의 다목적 구축함 ‘최현함(북한식 표기 ‘최현호’)에서 미사일이 발사되고 있는 모습을 조선중앙통신이 30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북한의 다목적 구축함 ‘최현함(북한식 표기 ‘최현호’)에서 미사일이 발사되고 있는 모습을 조선중앙통신이 30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의 다목적 구축함 ‘최현함(북한식 표기 최현호)’이 진수 사흘 만에 첫 무장 시험 사격을 실시했다. 시험 사격을 참관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해군의 핵무장화’에 속도를 내라고 지시했다.



조선중앙통신은 30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8~29일 진행된 북한 신형 구축함 최현함의 첫 무장 시험발사를 참관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28일에는 초음속 순항미사일과 전략순항미사일, 반항공(대공) 미사일 시험발사와 127㎜ 함상 자동포 시험 사격이 진행됐다. 또 29일에는 함대함 전술유도무기와 각종 함상 자동 기관포들, 연막 및 전자 장애포 시험 사격이 이뤄졌다. 김 위원장은 참관 후에 “현존 위협과 전망적인 위협으로부터 국가 방위와 해양주권 수호를 위해 해군의 핵무장화를 가속화하기 위한 책임적인 선택을 할 때가 됐다”며 핵무장화 제반 과업을 지시했지만 과업의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배수량이 5000톤이라고 북한이 주장한 최현함은 길이 142m, 폭 22m에 70여 개 수직 발사대를 갖춘 것으로 추정된다. 함대지·함대공·함대함 미사일을 모두 장착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에 시험발사한 전략순항미사일은 화살 계열로 기존 화살 순항미사일에 초음속 비행 형상으로 변화한 초음속 순항미사일 시험발사 및 공개는 이번이 처음이다.



일각에서는 진수 사흘 만에 시험 사격을 실시한 ‘북한판 이지스함’ 최현함에 초음속 순항미사일과 위상 배열 레이더 등 첨단 무기 체계 및 탑재된 장비가 러시아로부터 기술을 지원 받았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관련기사



최현함 마스트에 장착된 4면 위상 배열 레이더는 러시아의 카라쿠르트급 함정에 탑재된 레이더와 배치 형상 및 고정형 레이더 설치 각도 등이 비슷하다. 또 복합 방공 무기 체계인 함대공 유도탄 탑재 발수, 추적 레이더, 기관포, 구동축 등이 러시아의 ‘판치르’를 복제한 것처럼 형상이 유사했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 최현함의 무장 시험발사에 대해 “초기 단계 발사 시험이고 각 체계를 분리해서 시험했다고 본다”며 “아직 무기 체계 통합 운영은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에 김정은이 통합 운영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참관에는 딸 주애, 장창하 미사일총국장, 김정식 당 중앙군사위원, 조춘룡 당 중앙위원회 비서 등이 동행했다. 앞서 북한은 25일 5000톤급 신형 구축함 최현함을 진수했다.

한편 국가정보원은 이날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 간담회에서 5월 9일 열리는 러시아의 제2차 세계대전 승리 80주년 기념 행사(전승절)에 김 위원장이 직접 참석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했다.

국정원은 북러 관계와 관련, “러시아 전승절 80주년 행사에는 김 위원장이 직접 참여하지 않고 최룡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등 대체 인사가 참석할 가능성이 높다”며 “김 위원장이 참석하려면 몇 주 전부터 경호 등이 관측돼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것으로 봐서 김 위원장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현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