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송파구 잠실동에 위치한 ‘잠실주공5단지’ 국민평형(전용 82㎡)이 송파구 최초로 40억 원을 넘겼다.
2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잠실주공5단지 전용 82㎡(35평형)가 지난 4월 15일 40억7500만원에 거래 되며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다. 통계를 보면 잠실에서 국평 기준으로 40억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3.3㎡당 가격으로 환산하면 1억1642만원 가량이다. 집값이 폭등했던 지난 2021년에도 32억원이 최고가 거래였다. 앞서 해당 평형은 최고가 기준으로 지난 1월 34억7500만원, 2월 35억7500만원에 각각 거래됐다. 3월에는 39억7500만원에 팔리더니 4월에는 40억원을 넘어선 것이다. 이 단지는 올해 들어 가격 오름폭이 커지면서 전 타입에서 매매 실거래가격이 40억원에 육박한 상태다.
서울시가 올해 3월 해당 단지를 포함한 송파구 일대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상승세는 꺾이지 않았다. 최고 70층 높이로 추진하는 한강변 재건축 사업 단지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어서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이후 거래를 살펴봐도 가격이 상승세다.
1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4월 4주(4월28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강남3구와 용산구 등 규제 지역을 포함한 23개 자치구 모두 일제히 가격이 올랐다. 규제 이후 강남권 거래절벽 현상이 두드러진 가운데 강남구는 대치·압구정동 위주로 가격이 오르며 0.13%에서 0.19%로, 용산구는 이촌·한남동 위주로 가격이 오르며 0.13%에서 0.15%로 상승폭이 커졌다. 또 서초구는 반포·잠원동 주요단지 위주로, 송파구는 잠실·신천동 위주로 가격이 오르며 전주(0.18%) 상승폭을 유지했다. 서울 자치구 중에는 강남구가 상승률 1위(0.19%), 이어 서초구(0.18%)와 송파구(0.18%), 마포구(0.17%), 성동구(0.16%), 양천구(0.14%) 순으로 조사됐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서울 아파트 시장은 현재 공급 불안 심리, 통화량 팽창, 새 정부 출범에 대한 기대감 등이 섞여 수급 불균형이 심한 상황"이라며 "거래는 줄고 가격은 빠지지 않은 횡보 장세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