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양천구 목동 4·10단지가 재건축으로 6400여가구 대단지로 탈바꿈한다.
서울시는 전날 제4차 도시계획위원회 신속통합기획 정비사업 등 수권분과위원회를 열고 '목동4단지 재건축사업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 결정·경관심의안'과 '목동10단지 아파트 재건축 정비계획 수립 및 정비구역 지정·경관심의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22일 밝혔다.
목동 4단지 일대는 반경 1㎞ 이내 지하철 5호선 오목교역과 목동역이 있고, 남측에 국회대로 상부 공원화 사업이 추진되는 곳이다. 신속통합기획으로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이 마련됐다. 용적률 300% 이하, 최고 49층 규모로 공동주택 2436가구(공공주택 293가구 포함)와 부대 복리시설을 재건축하는 것이다. 목동중앙로변에는 근린공원을 조성하고, 지하에는 공용 주차장을 넣는다. 데이케어센터를 설치해 전문적인 돌봄 서비스를 제공한다.
목동 10단지는 인근에 지하철 2호선 신정네거리역이 있고 초등학교·중학교와 신트리공원으로 둘러싸인 곳이다. 대상지에는 용적률 300% 이하, 최고 40층 규모의 공동주택 4050가구(공공주택 525가구 포함)와 부대 복리시설이 들어선다.
중앙로32길변에 근린공원, 목동 중심지구까지 공공 보행통로를 조성한다.
정비계획이 결정됨에 따라 목동4단지와 10단지는 정비계획 고시, 정비사업 통합심의를 거쳐 건축계획이 확정될 전망이다. 서울시는 올해 안에 목동 14개 단지 정비계획 결정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도봉구 삼환도봉아파트 재건축과 강북구 번동 441-3번지 일대 주택 정비형 재개발 사업 정비구역 및 정비계획 결정안도 수정 가결됐다. 삼환도봉아파트는 660가구 규모로 1987년 준공된 노후 아파트다.
2021년 6월 주민제안 방식으로 정비계획을 추진했으나 사업성이 낮아 난항을 겪다가 신속통합기획 자문사업 방식을 적용해 심의 속도가 빨라졌다. 지난해 4월 신속통합기획 자문사업 신청한 뒤 약 1년 만에 심의를 통과했다.
이번 결정으로 삼환 도봉 아파트에는 높이 42층 이하 총 993가구(공공주택 155가구 포함) 규모의 공동주택과 부대 복리시설이 신축된다. 지난해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이 개정되며 준공업지역인 이곳에 소형 임대주택을 공급할 수 있게 됐고, 사업성 보정계수도 적용돼 분양가능 세대수가 806가구에서 838가구로 32가구 증가했다. 법적 상한 용적률이 400%까지 확대돼 건폐율 60%·용적률 343.49%가 적용됐다.
강북구 번동 일대는 오패산 자락의 구릉지에 위치한 저층 주거 밀집 지역으로, 재개발이 본격화되면서 산과 단지가 어우러지는 쾌적한 주거환경이 조성될 전망이다. 서울시는 지역의 여건을 고려해 제1종, 제2종(7층), 제3종이 혼재된 용도지역을 공동주택 제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상향했다. 사업성 보정계수를 적용해 허용 용적률 인센티브 40%를 부여했다. 상한 용적률 290% 이하, 지상 26층 높이 120m 이하며 960가구가 건립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