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軍복무 여건 개선 한목소리…"방산 4대 강국 도약"

이재명 "軍경력, 공공기관 호봉 반영"

김문수 "남녀 불문 군가산점제 도입"





대선 후보들이 병역제도와 관련해서도 앞다퉈 공약을 내놓았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10대 공약집에는 공공기관에서의 군 복무 경력 호봉 반영과 국민연금 군 복무 크레딧 확대가 담겨 있다. 그가 대선 출마 전 밝혔던 선택적 모병제는 조만간 공개될 세부 공약집에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남녀를 불문한 군 가산점제 및 여성 희망복무제 도입, 군 복무 여건 개선, 수당 현실화 등을 약속했다. 다만 1999년 헌법재판소가 여성뿐만 아니라 장애 등으로 군 복무를 할 수 없는 남성들에게도 차별이라는 이유로 군 가산점에 대해 위헌 판결을 내렸던 점을 감안하면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 또한 나온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는 병역 의무자 전원을 대상으로 통합 기초 군사훈련을 실시한 후 성적 우수자를 장교·부사관 후보로 선발하는 방안 등을 제시했다.

국가 안보와 관련해서는 특히 중국을 염두에 둔 듯한 공약들도 눈에 띈다. 이재명 후보의 경우 어업협정 이행 강화와 불법 중국 어선 강력 대응을 통한 해양주권 수호를 강조했다. 김 후보는 간첩법(형법 제98조) 개정을 내걸었다. 적국(북한)에만 간첩죄를 적용할 수 있다는 조항을 ‘외국 또는 외국인 단체’로 개정한다는 내용이다. 우리 군 기지 등 군사시설을 촬영하다 잇따라 적발된 중국인들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방위산업 육성도 공약에 포함됐지만 이재명 후보와 김 후보 모두 내세운 글로벌 4대 방위산업 강국 달성은 이미 수년 전부터 정부 차원에서 추진해온 목표다. 이재명 후보는 보다 구체적인 실행 방안으로 컨트롤타워 신설과 방위사업청 역량 강화, 국방 분야 인공지능(AI) 연구개발(R&D) 국가 투자 확대, 방산 수출기업 R&D 세제 지원 추진을 약속했다. 김 후보는 법적·제도적·금융적 지원 확대와 10대 국방 첨단기술 집중 육성 정도만 공약집에 담았다.


유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