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관세 협상을 벌이고 있는 일본 정부가 미국 조선업의 부활을 지원하는 양국 공동기금(펀드) 설립 방안을 미국 측에 제안한 것으로 파악됐다. 제조업 일자리 창출을 중시하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기조에 부합하는 동시에 조선 업계의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는 중국에 대응하려는 목적도 담겨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아사히신문은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일본이 이번 협상에서 조선 분야 협력안을 포함한 구체적 계획을 미국 측에 전달했다고 26일 보도했다. 제안에는 공동기금 외에도 미국 내 선박 수리 시설 확충,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차세대 암모니아 연료 선박 및 쇄빙선 공동 개발 등이 들어 있다.
이 같은 제안은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하는 주요 정책의 가려운 곳을 적극 겨냥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국은 한때 ‘조선 강국’으로 불렸지만 현재 세계 선박 건조 점유율은 0.1% 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에 미국은 일본의 첨단 조선 기술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일본의 기술로 미국 조선업을 재건하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제조업 부흥과도 맞물려 있다고 볼 수 있다. 세계 조선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의도도 깔려 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도 조선 분야 협력에 의욕을 보이고 있다. 이시바 총리는 25일 교토의 한 조선 업체 수리 시설을 시찰하며 “미군 함정을 일본에서 정비할 수 있는지 미국 측이 관심을 갖고 있다”며 “정부 차원에서도 가능하다면 지원하고 싶다”고 말했다.
다만 미국 내 조선업 부활의 현실성에는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일본 중공 업계 고위 관계자는 “미국에서 (채산성이 맞는 수준의 임금으로) 조선소에서 일할 노동자가 얼마나 있겠느냐”며 인건비 부담을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