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분석

"올 1분기 대외채무 6834억불…外人 유입에 1.6% 증가"

건전성 지표 소폭 상승에도 예년보다 낮아

28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 코스피, 코스닥지수,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28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 코스피, 코스닥지수,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




정부는 올해 1분기 대외채무가 다소 증가했으나 외채 건전성 지표는 여전히 양호하다고 밝혔다.

28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대외채무는 6834억 달러로 지난해 말보다 105억 달러(1.6%) 늘었다. 만기 1년 이하인 단기외채와 만기 1년 초과인 장기외채가 각각 28억 달러와 77억 달러 증가했다.



부문별로 보면 정부(95억 달러) 및 기타(비은행권·공공·민간기업, 32억 달러)의 외채가 증가한 반면 중앙은행(-8억 달러), 은행(-13억 달러)의 외채는 감소했다.

관련기사



대외채무의 증가는 국고채 등 우리 채권에 대한 외국인 등 비거주자의 투자가 확대(자금 유입)된 영향이 컸다는 평가다. 실제로 올 1분기 중 상장채권에 대한 외국인의 순투자 규모는 9조 9000억 원에 달했다.

외채 건전성 지표는 3개월 새 소폭 상승했다. 총외채에서 단기외채가 차지하는 비중은 21.8%에서 21.9%로 확대됐고, 보유액에서 단기외채가 차지하는 비율은 35.3%에서 36.5%로 올라섰다. 다만 기재부는 이들 수치가 예년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직전 5개년 평균 단기외채/총외채 비중과 단기외채/보유액 비율은 각각 26.0%, 37.5%였다.

국내은행의 외채 상환능력을 나타내는 외화유동성 커버리지 비율(LCR)은 올 1분기 기준 152.9%로 규제비율인 80%를 크게 웃도는 상태다. 지난해 말 기준 171.8%보다는 18.9%포인트 하락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글로벌 통상환경 및 자금흐름의 변화, 주요국 통화정책 전환 및 금리 움직임 등의 전개양상에 따라 대외 부문 불확실성이 높아질 수 있는 만큼 앞으로도 정부는 국제금융시장 상황과 함께 대외채무 동향을 면밀히 점검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유현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