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또 트럼프 때문에…G7 정상선언, 19년 만에 포기 검토

美마이웨이에 회원국 갈등표출 최소화

광물·AI 등 7개 개별문서 발표로 대체

1기땐 선언발표 3시간 만에 거부 전력

도널드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인 2018년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앙겔라 메르켈 당시 독일 총리가 트럼프 대통령과 팽팽히 대립하고 있고 이를 다른 나라 정상 및 관계자들이 주시하고 있다./AP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인 2018년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앙겔라 메르켈 당시 독일 총리가 트럼프 대통령과 팽팽히 대립하고 있고 이를 다른 나라 정상 및 관계자들이 주시하고 있다./AP연합뉴스




니혼게이자이신문이 15~17일 캐나다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정상선언 발표를 포기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고 1일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다른 회원국 간 충돌을 피하려는 조치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미국 우선주의 정책을 내걸고 ‘자유무역과 법치주의 중시’라는 기존 G7 가치와 엇박자를 내고 있다. G7이 사실상 ‘G6+1’ 구도로 갈린 가운데 사전 협상 및 조율을 담당하는 보좌진도 회의를 2주 앞둔 지금까지 정상선언 채택을 위한 논의에 착수하지 않았다. 일본의 한 협상 관계자는 “의장국 캐나다가 현실적 노선을 택해 가능한 범위에서 합의를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G7은 정상선언 대신 중요 광물, 인공지능(AI), 양자기술, 억압 행위 대응, 인프라 협력, 산불, 이민 대책 등 7개 개별 문서를 발표할 계획이다.

정상선언은 통상 수십 쪽에 달하는 ‘공동입장문’으로 G7의 결속을 보여주는 핵심 결과물이다. 이번에 선언이 무산되면 러시아가 개최한 2006년 G8 이후 19년 만이 된다. 앞서 트럼프 1기였던 2018년에도 자유무역과 관련한 표현을 두고 미국이 다른 회원국과 대립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정상선언 발표 3시간 만에 ‘나는 이를 승인하지 않는다’고 번복한 바 있다.

한편 이번 G7 정상회의는 직전 이탈리아 회의 이후 미국·영국·독일·캐나다·일본 등 6개국 정상이 교체된 상태에서 진행된다.


송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