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전남 광양만권 국가산단 '경제성·필요성 입증'

전남도. 최종 용역 보고서 ‘타당성’ 확인

117개 기업 입주 의향…후속절차 총력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 율촌1산단 전경. 사진 제공=전라남도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 율촌1산단 전경. 사진 제공=전라남도




전라남도가 AI·바이오·우주항공 등 미래산업의 핵심소재를 공급하기 위해 광양만권 일대에 추진하고 있는 국가산업단지 대한 필요성·경제성·타당성이 입증됐다.

1일 전라남도에 따르면 광양만권 미래첨단소재 국가산업단지 지정 기본계획 및 타당성 조사 용역 결과 산업단지 조성 시 약 3조 5177억 원의 생산유발 효과, 1조 2684억 원의 부가가치 창출, 1만 4100명의 고용유발 효과가 각각 예상된다. 순현재가치는 1025억 원, 내부수익률은 4.88%, 비용편익비율은 1.055로 국가사업으로서 추진 타당성이 충분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또한 미래첨단소재 국가산업단지가 순천 해룡면과 광양읍 일원 약 396만㎡ 부지에 들어서면, 지형이 평탄하고 접근성이 뛰어나 개발 여건도 우수한 것으로 분석됐다.

관련기사



인근 광양만권 산업벨트와 석유화학·철강산업과 연계해 고부가가치 미래 산업을 육성하면, 기존 세풍·율촌산단과의 시너지 효과도 클 것으로 기대된다.

전남도에 입주 의향을 밝힌 기업은 총 117개 사다. 유치 업종은 2차전지, 금속가공, 전기·기계·운송장비 등 67개 품목에 달하며 특수합금·금속복합소재, 연구시설 등도 포함됐다.

전남도는 앞으로 정부 건의, 국비 확보, 민간 투자유치 등 후속 절차를 신속히 추진해 국가산단 지정을 목표로 행정력을 집중할 계획이다.

서은수 전남도 일자리투자유치국장은 “미래첨단소재 국가산업단지는 단순한 산업 인프라를 넘어 전남의 산업을 고도화하고, 미래 기술 전략화를 이끄는 핵심 플랫폼이 될 것”이라며 “글로벌 산업 지형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전남형 국가산단 모델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무안=박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